글로벌 투자자들, 한국 증시에 대한 기대감 고조 “K푸드·K뷰티 분야 주목”
싱가포르에서 열린 ‘2025 BDA파트너스 싱가포르 PE 콘퍼런스’에서 많은 글로벌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 행사에서 BDA파트너스의 유안 렐리 회장은 “변동성이 높은 시대에 한국 증시가 그동안 저평가되었으며, 최근 상승세를 보이는 만큼 글로벌 자금이 더 유입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콘퍼런스에는 싱가포르투자청, 일본정책투자은행, 카타르투자청 등 운용자산이 2000조원을 넘는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K푸드와 K뷰티와 같은 분야에 큰 관심을 보이며 한국 시장에서의 투자 기회를 탐색하고 있다. 특히, 유안 회장은 한국의 경제적 기회가 더 넓어질 것이라고 내다보며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차종현 차파트너스 대표는 “코스피가 4000을 넘어서면서 상법 개정의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며, 사모와 공모시장 간의 격차가 줄어드는 조짐을 분석했다. 이러한 변화는 장기적으로 한국 자본시장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패널 토론에서는 K푸드와 K뷰티에 대한 질문이 집중적으로 다뤄졌다. VIG파트너스의 이철민 대표는 “현지화 전략이 필수적이며, K뷰티 사업의 경우 브랜딩뿐만 아니라 기술 및 제조 기반 구축이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그는 성공적인 글로벌화를 위해 현지 시장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해준 IMM PE 대표는 한국 제조 및 첨단 기술 분야에서 ‘제2의 K웨이브’가 발생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한국 시장의 잠재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피력했다. 그는 많은 제조업체들이 글로벌화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최적의 투자 타이밍이 임박했다고 주장했다.
한국 미들 마켓에 대한 전망도 긍정적이었다. 엄영범 다올PE 대표는 “한국 기업들이 승계와 해외 진출에서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적절한 전략이 마련된다면 투자 기회가 더욱 많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은 글로벌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하다.
마지막으로, 헬스케어와 기술 상장업체에 대한 별도의 패널 토론도 진행되었다. 하이디 홍 블랙스톤 선임 매니저는 아시아 기술 시장의 통합 가능성과 중국+1 공급망 다변화가 M&A 수요를 견인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앤드루 살다나 사마리안 헬스케어 대표는 아시아 헬스케어 산업의 신뢰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지역 사회와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