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노란봉투법 시행 앞두고 매각 문의 급증 "사업을 접겠다"는 목소리

중소기업 창업자들 사이에서 노란봉투법의 시행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다. 이 법이 시행될 경우, 중소기업들이 파업 등 쟁의 활동에 직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업 매각을 고민하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소기업 전문 인수·합병(M&A) 자문사인 브릿지코드에 따르면, 올해 들어 중소기업 대표들의 매각 문의가 2400건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해 수치인 1600건에서 약 50% 증가한 것으로, 특히 문의 건수의 60%가 중소 제조업체와 관련이 있다. 박상민 브릿지코드 대표는 "노란봉투법이 시행될 경우 쟁의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많은 중소기업들이 이러한 상황 변화에 대처할 시스템이 부족하다"고 밝혔다.
또한, 중소기업 창업자들은 최고 50%에 달하는 상속세로 인해 가업 승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와 함께 파업 위기라는 이중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이로 인해 일부 기업들은 매각을 통한 사업 종료를 심각하게 고려하게 되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으로 국내에는 약 804만 개의 중소기업이 존재하며, 이들 기업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약 1895만 명에 달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기업이 사업을 포기하게 될 경우, 기계 가공, 용접 및 주요 뿌리 기술들이 사라지는 위험이 존재한다. 박 대표는 "기업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고민과 결정이 중요한 시점에 직면해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경향은 중소기업 생태계에 큰 충격을 주며, 향후 산업 구조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노란봉투법 시행으로 인해 더 많은 중소기업이 존폐 위기에 처할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은 반드시 주목해야 할 사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