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테크·환테크 열풍이 다시 불까? 안전자산 투자 시점 분석"

금리와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최근 대내외의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금(金)테크'와 '환테크' 열풍이 재현될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거래소(KRX) 정보데이터시스템에 따르면, 금현물 ETF인 'ACE KRX금현물'의 거래대금은 최근 한 달간 15% 증가했다. 이날 이 ETF의 거래대금은 207억2623만503원으로, 전달의 179억4988만7733원과 비교해 15.46% 상승했다. 개인투자자들의 누적 순매수액은 379억7824만원으로, 지난달 전체 순매수액인 165억8482만원에 비해 128.9% 급증했다.
금값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서 금 현물 1그램의 가격은 전일 대비 410원(0.27%) 오른 15만209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연초(12만8680원)와 비교할 때 약 18.19% 상승한 것이다. 금은 인플레이션 헤지 및 환율 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한 안전자산으로, 미국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자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환헤지형 금 ETF는 환율 변동 위험을 줄여주면서 달러 약세 국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에서는 이러한 ETF를 활용한 투자 전략을 재구성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전 세계적인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금리 인하로 인한 금의 수요 증가를 지적하며, 하반기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대체투자 비중을 10%, 그 중 금 관련 비중을 8%로 추천하고 있다.
또 다른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달러화도 주목받고 있다. 달러화는 연초 대비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미국 금리 인하에 따른 투자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이날 달러당 원화값은 전일 대비 1.60원(0.11%) 하락한 1396.6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개인투자자들의 국내 상장 달러 ETF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는 이달 누적 순매수액이 14억208만원으로 전달의 13억7607만원에 비해 약 1.89% 증가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원·달러 환율과 금이 각각 약 84%, 76% 확률로 상승할 것이라며, 향후 3년간 미국금리가 낮아지고 국내 은행 이자율도 하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면서, 주식보다 달러와 채권 투자 등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