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체감 경기, 미국 관세 협상 타결과 소비쿠폰 지급으로 반등

기업의 체감 경기가 3개월 만에 반등했다. 이는 미국의 관세 협상 타결과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쿠폰 지급의 긍정적인 영향에 기인한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8월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1포인트 상승하여 91을 기록했다. CBSI는 미국 관세 협상 결렬과 불확실성의 영향으로 6월과 7월에 연속 하락세를 보였으나, 이번 협상이 타결됨에 따라 심리지수가 반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8월 CBSI는 지난해 11월 91.8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지만, 여전히 장기 평균인 100에는 미치지 못해 기업들이 경기를 여전히 비관적으로 보고 있다는 평가도 있다. CBSI는 2003년부터 2024년까지의 장기 평균 100을 기준으로 해석되며, 이 지수를 초과하면 기업 심리가 낙관적임을 나타내고, 미달 시 비관적이라는 뜻이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의 CBSI는 93.3으로 7월보다 1.4포인트 상승했으며, 비제조업도 업황과 매출 개선으로 인해 0.7포인트 오른 89.4를 기록하였다. 이는 지난해 11월(92.5)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비제조업 섹터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암시한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통상 관련의 불확실성이 감소하였고, 반도체와 자동차 산업이 활발한 수출 실적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또한 "휴가철과 소비쿠폰 등의 지원으로 운수 및 유통업이 개선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9월 CBSI 전망치는 제조업과 비제조업 모두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데, 특히 비제조업의 전망치는 지난 2021년 5월 이후 최대 폭인 4.7포인트 상승하였다. 이번 조사는 8월 11일부터 19일 사이에 전국 3524개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3300개 기업이 응답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기업들이 기대하는 경기 회복의 초기 신호를 포착할 수 있으며, 향후 수출과 내수 활성화가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장기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체감 지수는 기업들이 신중한 시각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따라서 향후 경기 회복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