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상수지, 5월 101.4억 달러 흑자 기록…25개월 연속 흑자 성공

한국의 경상수지가 지난해 5월에 비해 증가하며 25개월 연속으로 흑자를 지속하고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5월 국제수지(잠정) 통계'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101억4000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다. 이는 역대 5월 기준 세 번째로 큰 규모의 흑자다.
항목별로 분석하면, 상품수지에서 106억6000만 달러의 흑자를 보이며, 흑자 폭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수출은 569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2.9% 감소하였고, 전월인 4월(585억7000만 달러)보다도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은 반도체 수출의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자동차, 철강 및 석유제품 등 비IT 품목의 수출이 줄어들면서 전체 수출량이 감소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IT 품목 가운데 반도체가 20.6%, 컴퓨터 주변기기가 5.3% 증가하는 등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나, 비IT 품목에서 석유제품은 20.0%, 철강제품은 9.6%, 승용차는 5.6% 감소해 전체적으로 6.7% 하락했다. 또한, 주요 수출 상대국 중 동남아시아(8.2%)와 유럽연합(EU, 4.0%)에게서는 수출 증가세가 있었지만, 일본(-9.0%), 중국(-8.4%), 미국(-8.1%) 등에서는 수출이 감소하였다.
수입의 경우, 462억7000만 달러로 지난해에 비해 7.2% 줄어들었고, 4월의 495억8000만 달러와도 비교하여 감소세가 지속되었다. 한국은행은 자본재는 증가세를 보였지만, 에너지 가격의 하락으로 인해 원자재 수입이 감소폭이 커지는 현상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원자재 항목에서는 석탄이 31.6%, 석유제품이 30.0%, 원유가 14.0% 감소한 반면, 반도체 제조장비(26.1%), 수송장비(46.8%), 정보통신기기(16.5%) 등 자본재 수입은 4.9%의 성장을 보였다. 소비재 항목에서도 승용차는 16.8%, 직접 소비재는 2.2% 증가하여 0.4%의 미세한 상승세를 지속하였다.
서비스수지 면에서는 운송과 여행 관련 항목이 포함된 서비스수지가 22억8000만 달러의 적자를 초래하였다. 지난 달 대비 적자폭은 줄어들었으나, 작년 같은 달의 12억2000만 달러와 비교하면 적자가 확대된 상황이다. 특히 여행수지의 적자는 9억5000만 달러로, 5월의 연휴로 인해 해외 여행객 수가 증가하면서 적자폭이 커졌다.
이러한 경상수지 현황은 한국 경제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시사하며, 글로벌 경제의 변동성 속에서도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