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플 하우스, 달걀 서징 폐지… 가격 안정세 보인다

미국의 대표적인 아침식사 체인인 와플 하우스가 달걀 서징을 폐지하며 가격 안정세를 알렸다. 지난 2월,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으로 달걀 가격이 급등하면서 50센트의 추가 요금을 도입했으나, 최근 가격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됨에 따라 이 서징을 없애기로 결정한 것이다.
와플 하우스는 소셜 미디어를 통해 "달걀 서징이 메뉴에서 폐지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이해에 감사드립니다"라고 발표했다. 조류인플루엔자의 확산으로 수백만 마리의 산란용 닭이 도살되면서 달걀의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지난 몇 주간 도매와 소매 가격이 정상화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올해 5월의 소매 달걀 가격은 여전히 전년 대비 40% 이상 상승한 상태이다.
농무부 장관인 브룩 롤린스는 "달걀 가격의 하락이 가계에 완화의 신호를 주고 있다"며, "우리는 긴장을 늦추지 말고, 달걀 생산자들은 USDA의 자원을 활용해 생물안전성 평가를 지속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달걀 가격 인상이 소비자들에게 크게 와닿았음을 보여주는 지표로 작용하고 있다.
와플 하우스는 일반적으로 연간 약 2억 7천만 개의 달걀을 소비하는 대형 체인으로, 남부 지역에서 각종 자연재해 피해를 가늠하기 위해 '와플 하우스 지수'를 사용하기도 할 정도로 사회적 상징성이 높다. 달걀 서징은 식품 가격 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표출된 하나의 지표로도 볼 수 있다. 다른 아침식사 체인인 데니스(Denny’s) 역시 달걀 품귀 현상으로 가격 인상을 감행한 바 있다.
와플 하우스는 지난 한 달간 서징을 비공식적으로 폐지한 후, 이번 주에 공식 발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긍정적인 소식을 전했다. 지난 1년 간 식품 가격은 5월 기준으로 2.9% 상승했으며, 외식 가격은 3.8%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소비자 물가 상승률보다 식품 가격 상승률이 소폭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와플 하우스의 서징 폐지 소식은 단순한 가격 조정 이상의 의미를 갖고 있으며, 앞으로의 경제 상황 변화와 소비자 물가에 대한 향후 전망을 주목하게 한다. 달걀 가격의 안정화가 가계 소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더욱 기대되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