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증권 “우리금융, 순이자 이익 증가로 긍정적 전망…수수료 이익 확대 기대”

하나증권은 13일 우리금융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으며, 자사의 투자의견을 매수로 유지하고 목표주가를 3만원으로 설정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금융의 순이자이익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수수료이익도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나증권은 우리금융의 3분기 추정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865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수치는 시장의 예상치인 컨센서스보다 다소 낮은 수치로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비이자이익의 하락과 대손비용 증가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비화폐성 외환환산 손실이 약 3500억원에 달하면서 기타 비이자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3분기에는 자산신탁 관련 추가 충당금 적립이 이루어져 대손비용이 5000억원 이상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긍정적인 요소도 있다. 동양·ABL생명 인수에 따른 시세차익이 약 4500억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로 인해 실제 순이익은 1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은행의 총대출도 직전 분기 대비 0.5% 증가하며, 순이자마진(NIM) 또한 소폭 상승해 순이자이익이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수수료이익 또한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나증권은 3분기 보통주자본(CET 1) 비율이 12.85%로 직전 분기 대비 3bp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동양·ABL생명 인수로 인한 CET 1 비율의 하락폭은 약 10bp로 제한적일 것으로 분석됐으며, 대출 성장률이 0.5%에 그친 점 등이 CET 1 비율 상승의 기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리금융은 향후 5년간 80조원을 투자하여 생산적 금융과 포용적 금융을 확대하는 ‘미래동반성장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는 국민성장펀드 참여, 모험자본 투자, 첨단전략산업 생태계에 대출 등을 포함한 다양한 투자 방안을 포함하고 있다.
올해 정기주총에서는 자본준비금 3조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전환해 비과세 배당 재원으로 활용하기로 의결했다. 이를 통해 앞으로 약 3년 이상 투자자들의 세후 실질 배당 수익률이 상승할 전망이다. 최정욱 하나증권 연구원은 “배당성향이 30% 이상 유지될 것으로 예상되며, 비과세 결산배당의 영향을 감안할 때 실효 배당 수익률은 약 5.2% 수준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러한 요소들은 우리금융이 앞으로의 불확실한 경제 상황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한번 더 강조하자면, 하나증권의 비전과 평가는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우리금융의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