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인수 희망자 모집 중…“실제 들어가는 비용은 1조 원 미만”

홈플러스가 기업 회생계획을 승인받기 이전에 신규 인수자를 찾고 있다. 이 과정에서 예상되는 자금 조달 규모가 너무 큰 것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홈플러스는 ‘전세 낀 아파트’라는 비유를 사용하며, 실제로 필요한 현금은 1조 원 미만이라는 주장을 내세웠다.
홈플러스는 8일 공식을 통해 "지금 시장에서 인수에 필요한 자금에 대한 다양한 예측이 쏟아지고 있으나, 우리의 주요 재무적 구조와 핵심 회생 계획을 고려한다면 실제 소요되는 자금 규모는 1조 원 미만"이라고 발표했다.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의 보고서에 따르면 홈플러스의 전체 기업 가치는 약 7조 원으로 산정됐다. 이 수치는 약 4조 원의 순자산, 즉 총 자산 6조8500억 원에서 부채 2조9000억 원을 제외한 것에 홈플러스 브랜드 가치, 사업의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포함한 것이다.
더불어 홈플러스는 기존의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2조5000억 원에 달하는 보통주 투자에 대한 권리를 포기하기로 했음을 밝혔으며, 그 결과 청산 가치인 3조7000억 원 수준으로 인수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전했다. 이로 인해 기업 가치는 실질적으로 3조3000억 원 정도 할인된 효과를 얻는 셈이다.
인수자들이 홈플러스의 기업 가치를 3조7000억 원으로 판단하고 인수할 경우, 전체 채권 규모인 약 2조9000억 원보다 높은 액수여서 채권자들의 동의를 얻는 데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홈플러스는 보유 중인 4조8000억 원 규모의 부동산 자산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동산을 담보로 할 경우, 일반적인 담보 인정 비율(LTV)을 적용하면 약 2조 원의 자금 차입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결론적으로 홈플러스는 인수자가 담보를 통해 2조 원을 조달하고 부족한 부분을 현금으로 보완할 경우, 실제 들어가는 비용은 1조 원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인수 구조는 ‘전세 낀 아파트’ 비유로 명확히 설명되며, 이는 7조 원짜리 아파트의 경우 2조9000억 원의 전세가 들어있고, 전 주인이 자신의 지분을 포기한다면 새로운 매수자는 이 아파트를 담보로 2조 원을 빌려 전세금을 일부 상환하고, 실제 필요로 하는 현금은 1조 원 미만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결국 홈플러스는 이러한 구조적 설명을 통해 신규 인수자를 유치하고자 하며, 보다 실질적인 재무적 안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들이 성공적으로 이행될 경우, 홈플러스는 안정적 재건의 초석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