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3.09 경제지표] 연방준비제도 의장 파월 증언, 미국 노동부 JOLTs, 금리결정, 원유재고, GDP, 신규 실업수…
8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의회 증언과 민간 고용 지표를 소화하며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8% 하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14% 올랐고,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40% 상승했다.
미 국채 가격은 혼조세를 보였다.
파월 의장이 상원 반기 통화정책 보고에서 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언급한데 이어 하원에서도 같은 내용을 말하면서 금리인상 경계심은 여전히 유지됐다.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50bp로 금리 인상폭이 커질 가능성이 열린 가운데 2년물 미 국채수익률은 여전히 5%대를 나타냈다.
달러화 가치는 전날 수준을 중심으로 공방을 벌인 끝에 강보합 수준에서 거래를 마쳤다.
파월 의장이 당초 전망보다 매파적인 기조를 강화한 데 따른 파장을 소화하면서다.
뉴욕유가는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금리 인상 속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우려에 이틀 연속 하락했다.
이날 금융시장 참가자들은 전일 파월 의장의 상원 증언에 이어 하원 증언에 주목했다.
파월 의장은 오는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와 관련해 아직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며 들어오는 지표에 따라 금리 인상 폭이 결정될 것을 시사했다.
그는 "우리는 3월 회의에 대해 아직 어떤 결정도 내리지 않았다. 추가 자료를 볼 때까지 결정을 내리지 않을 것이다"라며 "그것은 지표에 달렸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3월 회의 전에 "들어올 중요한 지표들이 있다"라며 "(오늘 10시 발표될) 채용공고(Jolts) 지표도 아직 나는 보지 못했다. 10일에는 고용보고서가 나오며 이후에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가 나온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는 사전에 정해진 경로에 있지 않으며 입수되는 지표와 전개되는 전망이 우리를 안내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만약 전체 지표가 더 빠른 긴축을 보장한다면 금리 인상 속도를 높일 준비가 돼 있다, 물론 이에 대해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았다"라고 다시 강조했다.
경제지표는 2월 ADP고용보고서와 JOLT보고서, 연준 베이지북이 발표됐다.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2월 민간 부문 고용은 직전 달보다 24만2천 명 증가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인 20만 5천명 증가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주요 외신 또한 20만 명 증가를 예상했다.
미 노동부 JOLTs(구인·이직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월 채용공고는 1천80만 건으로 전월 수정치인 1천123만 건보다 41만 건 감소했다.
이직자 수는 390만 명으로 전월보다 20만7천 명 감소했다.
해고는 171만 명으로 전월보다 24만1천 명 증가했다.
연준 베이지북은 2023년 초에 전반적인 경제 활동이 약간(slightly) 증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연준은 "지난 보고서 이후 6개 지역은 거의 변화가 없거나 조금 있는(little or no change) 정도였고, 6개 지역에서 경제 활동이 완만한 속도(at a modest pace)로 확장됐다고 보고했다"고 분석했다.
노동시장은 여전히 견조했고, 물가 압력도 지속됐다.
연준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고용은 완만하거나 보통 속도로 계속 증가했다"며 "노동력을 찾는 것이 약간 개선됐으나 기술이나 경험을 갖춘 직원을 찾는 것은 여전히 어려웠다"고 짚었다.
연준은 "많은 지역에서 물가 상승세가 완화됐으나 인플레이션 압력은 광범위하게 나타났다"고 봤다.
[오늘 주목할 경제지표]
연방준비제도 의장 파월 증언, 미국 노동부 JOLTs, 금리결정, 원유재고, GDP,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