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5.17 경제지표] GDP, 소비자물가지수,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의 연설, 건축승인건수, 원유재고, 고용변동, 연간 …
1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부채한도 협상과 소매 판매 지표, 홈디포 실적 등을 주시하며 하락했다.
특히 장 막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부채한도 협상을 위해 아시아 순방 일정을 축소할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면서 부채한도 조기 타결 가능성이 줄어들며 낙폭이 커졌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01% 하락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64% 내렸고,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18% 하락했다.
미 국채 가격이 하락했다.
미국 정부 부채한도 협상을 위한 추가 회동에 시선이 집중되면서 단기채를 비롯한 채권 매도 심리가 우위를 보이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미국 채무불이행(디폴트) 시한인 오는 6월 1일까지 남은 기간 중 약 일주일 정도를 해외 정상회의로 자리를 비우는 점에 시선이 집중됐으나 백악관이 일정 조정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단기채 매도세가 다소 가라앉았다.
달러화는 보합권을 중심을 짙은 관망세를 보인 뒤 제한적 강세로 돌아섰다.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을 위한 정치권 회동을 앞두고 공개된 미국의 경제지표가 견조한 것으로 확인되면서다.
시장은 연방정부가 채무불이행(디폴트)에 빠질 수 있는'X-데이트(date)'가 불과 이주일 앞으로 다가왔다는 재닛 옐런 미국 재무부 장관의 경고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뉴욕유가는 중국의 경제 지표 부진에 하락했다.
연준 당국자들의 발언도 주목을 받았다.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아직 미국이 연방기금금리 인상을 중단할만한 지점에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
메스터 총재는 "나는 정책 금리가 향후 인상과 하락 양쪽으로 모두 동등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수준까지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메스터 총재는 지금이 '중단'할 정도의 금리 수준인지를 반문하며 "현시점에서, 우리가 입수한 데이터를 판단하면 나의 대답은 '그렇지 않다'이다"고 말했다.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오는 6월 금리 결정은 지표에 달렸다고 말했다.
바킨 총재는 6월 회의에서 어느 쪽으로 기울고 있는지에 대한 언급을 피하며 "(지금은) 자료를 추적하는 일을 하겠다. 회의가 가까워지면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 주목할 경제지표]
GDP, 소비자물가지수, 베일리 영란은행 총재의 연설, 건축승인건수, 원유재고, 고용변동, 연간 예산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