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7.14 경제지표]

좌측사이드광고
홈 > 투자정보 > 경제지표
경제지표

[23.07.14 경제지표]

FX개미 0 132

13일(미 동부시간) 뉴욕증시는 소비자 물가에 이어 생산자 물가도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소식에 상승했다.

S&P500지수는 지난해 4월 이후 처음으로 4,500을 돌파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14% 올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85% 상승했고, 나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58% 상승했다.

미국 국채 가격은 상승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예상보다 덜 오르면서 디스인플레이션 기대가 커져 시장 참가자들은 채권매수에 나섰다.

연준 내에서 가장 매파적 인물인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의 사임 소식도 금리인상 사이클 종료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달러화 가치는 약세를 보였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완화되면서다.

연준의 매파적인 통화정책 행보도 막바지일 것으로 기대됐다.

뉴욕유가는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완화되고 있다는 소식에 지난 4월 말 이후 최고치로 마감했다.

미 노동부는 이날 6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계절 조정 기준 전달보다 0.1%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문가들의 예상치였던 0.2% 상승보다 낮은 수준이다.

비계절 조정 기준 6월 PPI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0.1% 올랐다. 이는 전월치인 0.9% 상승에서 상승률이 크게 둔화한 것이다.

이는 2020년 8월(보합)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지난해 6월까지 11%대를 기록했던 PPI의 전년동기대비 상승률이 거의 보합 수준으로 떨어진 셈이다.

6월 상품 물가는 전월과 보합 수준을 나타냈다. 6월 서비스 물가는 전월보다 0.2% 상승했다.

식품과 에너지, 무역 서비스를 제외한 6월 근원 PPI는 전월대비 0.1% 올랐다. 전월 수치(보합)보다 소폭 높아진 것이다.

6월 근원 PPI는 전년 동기 대비로는 2.6% 올랐다. 이는 2021년 3월 이후 약 2년3개월 만에 가장 작은 상승 폭이다. 전월의 상승률인 2.8%에서도 조금 둔화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 8일로 끝난 한 주간 신규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전주 수정치보다 23만7천명으로 전주보다 1만2천명 감소했다.

이날 연준 당국자들 소식도 이어졌다.

메리 데일리 샌프란시스코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가 인플레이션에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며 금리 인상 옵션(선택지)을 열어둬야 한다고 말했다.

메리 데일리 총재는 이날 CNBC 인터뷰에서 "2회의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옵션을 열어두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주에 나온 인플레이션 소식은 "정말 좋은 뉴스"라면서도 "인플레이션에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에 대해서는 "여전히 많은 모멘텀이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2%를 향해 하락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금리인상을 지속할 것"이라고 데일리 총재는 말했다.

연준에서 가장 매파로 꼽히던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가 오는 8월 14일에 세인트루이스 연은을 떠난다는 발표도 있었다.

불러드 총재는 오는 8월 15일부터 퍼듀 대학교의 미첼E 대니얼스 주니어 스쿨오브 비즈니스 초대 학장직을 맡을 예정이다.

그는 사임 발표에 나서면서 FOMC 통화정책 관련 발언이나 대외 활동을 삼가고 있다고 세인트루이스 연은은 밝혔다.

[오늘 주목할 경제지표]

6c0c91d436a612161a7df0710bfab442_1689297785_6133.png
6c0c91d436a612161a7df0710bfab442_1689297785_9735.png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