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준, 금리 동결 결정…32년 만에 복수 반대표 등장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연 4.25~4.5%로 5회 연속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현재 미국 경제가 여전히 탄탄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관세 정책으로 인한 물가 상승을 우려해 당분간 안정적인 통화정책을 유지하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번 결정 과정에서 '친 트럼프' 인사인 미셸 보우먼 부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금리 인하를 주장하며 다수의 동결 결정에 반대표를 던져 Fed 내부에서 이견이 드러났다.
이번 회의에서 두 명 이상이 금리 결정에 반대한 것은 1993년 이후 무려 32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지속적인 금리 인하 압박이 Fed의 통화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시사한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직후 공개된 정책결정문에서는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한다"며, 모든 경제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Fed는 성명에서 실업률이 낮고 노동 시장이 견조하다는 점을 언급하며 물가 상승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나 이전 회의에 비해 경제 인식이 더욱 신중해진 모습도 드러났다. 예를 들어, 금리 동결 회의에서는 "경제 활동이 견조한 속도로 계속 확장되고 있다"고 평가했던 것과 달리, 이번에는 "경제 활동 성장세가 완화되었음을 시사하는 최근 지표들이 있다"고 표현했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이미 금리 동결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졌으며, 회의 전 동결 가능성을 97%로 보고 있었다. 이는 고용과 성장률이 여전히 견조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Fed가 관세 발 인플레이션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망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뒷받침되고 있다.
또한,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요구가 더욱 두드러지는 상황에서 이뤄져 특별한 관심을 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Fed 본부를 직접 방문해 제롬 파월 Fed 의장에게 금리 인하를 촉구하는 하나의 압박을 행사한 바 있다. 사실상 금리 인하 압박을 위해 선택한 이 자리에서 그는 Fed가 경제적 실태를 어떻게 반영할지를 문제 삼았다.
결론적으로, Fed의 금리 동결 결정과 함께 나타난 내부 의견 불일치는 향후 통화정책에 어떤 방향성을 제시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는 단순한 금리 변화가 아니라, 미국 경제와 국제 금융 시장의 안정성에도 심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