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상무장관 "한국 당국자, 스코틀랜드에 나를 만나러 온 진정한 의도 있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28일(현지시간) 한국 고위 당국자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공식 방문 중 자신을 만나기 위해 스코틀랜드까지 온 일이 있었다고 밝혔다.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러트닉 장관은 "한국 당국자들이 나와 미 무역대표부(USTR)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와의 회의를 위해 비행기를 타고 스코틀랜드에 왔다"고 언급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 발언을 통해 한국 측의 협상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이들이 얼마나 정말로 협상 타결을 원하고 있는지를 잘 생각해보라"라고 덧붙이며, 한국 당국자들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라는 점을 암시했다. 이들은 24일부터 25일까지 워싱턴DC와 뉴욕에서 러트닉 장관과 회의를 거쳐 트럼프 대통령의 스코틀랜드 방문이 예정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급히 스코틀랜드로 향하게 되었다.
그의 언급에서 시사하는 바는, 한국 측이 미국과의 협상 진전을 위해 매우 적극적으로 움직이고 있다는 점이다. 러트닉 장관은 구체적인 방문 날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이 스코틀랜드에 도착한 시점은 26일 혹은 27일로 예상되고 있다.
러트닉 장관은 또한, 이번 스코틀랜드 방문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EU 집행위원장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와의 회동에도 참석했으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는 불참했음을 밝혔다. 김 장관과 여 본부장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이 다가오는 8월 1일 이전에 러트닉 장관과의 마지막 협상을 진행할 계획으로 보인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관세 협상의 주요 결정권자임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운전석에 앉아 있다. 그는 모든 카드를 손에 쥐고 있으며, 관세율을 결정하고 각 국가들이 시장을 얼마나 개방할지를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이번 주에 모든 거래가 진행될 가능성도 있다. 우리에게 시장을 완전히 개방한 국가가 있으며, 일부는 더 적은 제안을 했다. 대통령은 '내가 원하는 방식'이라고 말하며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러한 발언들은 한국과 미국 간의 무역 협상이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한국이 미국 측과의 협상을 원활히 이끌어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점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김민영 기자는 이 협상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