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새로운 신드롬 '케데헌', 팔로워 1만에서 2000만으로 급증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출발한 '케데헌'이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의 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현상을 조명하며 K팝의 새로운 아이콘으로 자리잡은 '케데헌'이 전통적인 K팝 아이돌들보다 더욱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케데헌의 삽입곡 두 곡은 스포티파이에서 스트리밍 차트 1위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BTS나 블랙핑크와 같은 유명 K팝 그룹들이 달성하지 못한 성과이다.
케데헌의 중심에 있는 주인공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고 있는 케빈 우는 이 작품으로 인해 그의 스포티파이 청취자 수가 1만에서 2000만으로 급증했다. 그는 과거 유키스라는 K팝 그룹의 멤버였지만, 현재는 가상의 캐릭터로 활동하며 새로운 무대에 서고 있다. 케빈 우는 LA의 호텔 수영장에서 어린이들이 그의 노래를 따라 춤추는 모습을 보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전했다. 그는 "가상의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매우 비현실적인 느낌을 경험하고 있다"면서도 "이러한 경험이 제 예술적 재능을 재창조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덧붙였다.
K팝 업계의 전문가들은 케데헌의 현상이 비인간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향후 이를 모방한 작품들이 다수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UCLA의 김석영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은 팬들이 비인간 아이돌과 직접 소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는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 실현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가상의 아이돌들이 '잠도 자지 않고, 아프지도 않으며, 나이를 먹지 않는다'는 점도 강조했다.
반면, K팝 작곡가인 베니 차는 "인간 아티스트의 취약성, 화학적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기본적으로 대체할 수 없다"며 인간과 AI의 경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K팝의 본질이 인간 아티스트의 감정에서 비롯된다고 믿으며, 가상의 캐릭터들만으로는 채워지지 않는 부분이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케데헌의 인기는 단순한 유행의 차원을 넘어, 음악 산업 자체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K팝의 글로벌 확장 과정에서 AI의 역할이 커지는 동시에 그에 따른 도전과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예전에는 인간 아티스트들에 의해 주도되었던 음악 산업이 이젠 가상의 캐릭터에 의해서도 큰 성공을 거둘 수 있는 시점에 다가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