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가장 위험한 새' 가창오리 급증으로 항공기 조류충돌 경계령 발령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일본, '가장 위험한 새' 가창오리 급증으로 항공기 조류충돌 경계령 발령

코인개미 0 9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일본에서 가창오리, 즉 '토모에가모'가 급증하면서 전국의 공항에 조류충돌 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번 경고는 최근 제주항공 여객기와 조우해 사고를 일으킨 조류가 바로 가창오리인 것으로 밝혀진 데 따른 조치이다. 일본의 공영방송 NHK는 14일 일본 국토교통성이 이 새를 항공기 사고의 위험이 가장 큰 조류로 지정했다고 보도했다.

가창오리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철새 중 하나로, 일본 환경부의 조류 조사에 따르면, 2020년에는 약 2만 마리에 불과했던 개체 수가 2024년에는 14만 마리 이상으로 급격히 증가했다. 이는 불과 5년 사이에 6배 이상의 증가율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조류 충돌 대책을 논의하는 국가 검토위원회가 지난 3월에 토모에가모를 '문제 조류종'으로 지정한 배경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일본 국토교통성은 107개의 공항과 헬리포트에 경고 통지를 발송하며 특히 시마네현 이즈모공항, 치바현 나리타공항, 사가현 사가공항 등과 같은 주요 공항의 인근에서 특단의 주의를 기울일 것을 요청했다. 가창오리는 대규모로 군집을 이루기 때문에, 항공기와 충돌할 위험이 크며, 그 무게로 인해 항공기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도 높다.

특히 이즈모 공항에서는 살펴본 바와 같이, 항공기가 지난 1월 착륙하려던 중 토모에가모 3마리와 충돌하여 기체의 우익에 손상이 발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결국 항공편 결항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의 조류충돌 사고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집계된 사고는 1599건에서 시작해 2014년에는 1967건으로 급증했으나 이후 감소세를 보이며 2024년에 1647건으로 기록됐다. 그렇지만 일본에서는 조류충돌이 항공기 추락으로 이어진 사례는 아직 보고되지 않았다.

도쿄대의 히구치 히로요시 명예교수는 가창오리의 일본 내 유입 급증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에서의 도시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감소하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며, "지구온난화로 인해 시베리아의 해빙 시기가 조기에 나타나고, 이로 인해 번식 시기가 길어지고 겨울철 사망률이 감소하는 것도 한 몫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가창오리는 단순한 조류가 아니다. 한 마리와의 충돌만으로도 연쇄 반응이 일어나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며, 기후 변화와 먹이의 변화에 따른 서식지 변화에 대한 세심한 조사와 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현상은 항공 안전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생태계의 변화도 의미하므로, 보다 체계적인 접근과 인식 개선이 시급하다고 말할 수 있다. 항공사와 정부는 이러한 위협 요소를 사전에 인지하고 대응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