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일본 방침 발언에 일본 정부 "언급 자제할 것"

일본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협상에서 일본의 방침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고 발언한 것과 관련해 "언급을 자제하겠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양국 간의 갈등을 확대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의 대변인인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관방 부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이번 발언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며 한국과의 협상 분위기와 함께 일본의 국익을 지키고 쌍방의 이익이 되는 합의점을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일본이 "언급을 자제하겠다"고 한 것은 미국과의 불필요한 갈등을 차단하고, 이시바 시게루 총리의 개인 발언이 일본 정부 전체의 공식 입장이 아님을 우회적으로 인지시키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시바 총리는 최근 자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를 향해 강도 높은 발언을 하며, "본인들이 동맹이라도 할 말을 해야 한다"는 의견을 표명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3일(현지 시간)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일본과의 무역 문제를 지적하며 "일본은 시장 개방에 소극적이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일본이 미국에 수백만 대의 자동차를 판매하는 반면, 일본에 미국 자동차를 판매하지 않는 현실을 비판하며 일본의 방침 변화가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한국과의 협상도 언급하며, 상대국들이 그들의 방식을 빠르게 바꾸려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일본은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있으므로 미국 측에 양보안을 제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본 내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과 향후 협상 전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번 문제의 해결책은 참의원 선거 이후에나 발견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언급하며, 양국 간의 무역 분쟁이 격화되고 있는 점을 문제 삼았다.
다음 달 부과될 상호관세 25% 적용까지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일본은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번 사태가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이며, 일본 정부는 대미 무역흑자를 축소하기 위한 새로운 카드를 마련할 필요성도 제기하고 있다. 이는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이렇듯 일본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양국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내부의 정치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 속에서 일본과 미국 간의 무역 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