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25% 관세 부과, 일본 항공기 및 건설기계 산업에 큰 타격 예상"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예상된 대로 오는 8월 1일부터 일본 수입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경우, 일본의 대미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항공기 부품 및 건설기계 산업에 상당한 타격이 올 것으로 우려된다. 일본의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최근 이러한 우려를 전달하며, 미국 수출 비중이 높은 주요 품목으로 ▲항공기 부품 ▲건설·광산 기계 ▲금속 가공 기계 ▲자동차 ▲자동차 부품 등을 언급했다.
특히 항공기 부품은 일본 전체 항공기 부품 수출의 76.5%가 미국 시장에 의존하고 있으며, 2012년 기준으로는 3079억 엔 규모의 수출액 중 대다수가 미국에 수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의 IHI는 제너럴일렉트릭(GE) 및 프랫앤휘트니(P&W)가 제조하는 민간 항공기 엔진 부품을 제작하고 있다.
또한 건설 및 광산 기계 분야에서도 미국 수출 비중이 50%를 넘고 있다. 일본의 대표적인 건설기계 제조업체인 고마쓰의 경우, 전체 매출의 30%가 북미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고마쓰는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하기 위한 가격 조정과 함께 부품 조달 체계를 변경할 계획이다.
자동차와 관련된 산업 또한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미국 시장에 대한 수출 비중이 30~50%에 달하는 금속 가공 기계와 자동차, 자동차 부품은 품목별 관세의 적용을 받기 때문에 협상 여지가 제한적이다. 현재 자동차의 관세가 25%, 철강과 알루미늄은 50%에 달하고 있어 이로 인해 일본 기업들이 큰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25%의 새로운 상호관세는 기존 24%에서 1%포인트 인상된 것으로, 백악관은 국가별 상호관세가 품목별 관세와 별도로 설정된다고도 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상호관세에 대해 협상의 여지를 남긴 것과 함께, 품목별 관세는 강력한 제재 수단으로 활용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일본 정부는 관세 인상에 유감을 표명하며, 양국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협상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즈호리서치앤테크놀로지의 분석에 따르면, 10%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로 인해 일본의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0.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상호관세가 25%로 인상될 경우 이 감소폭은 0.4%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쓰쓰이 요시노부 일본경제인단체연합회 회장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상호관세 인상이 일본 기업들에게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기업들의 투자 전략에서 예측 가능성과 수익성 모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일본 경제에 상당한 위협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