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의 관세 서한 발송 예고에 따른 하락세… 테슬라 주가 7% 급락

미국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들이 7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8일로 예정된 상호관세 유예 조치 만료를 앞두고 무역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격화되면서 투자자들이 매도세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테슬라의 주가는 일론 머스크 CEO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를 악화시키는 신당 창당 소식을 발표하자 약 7% 가량 급락했다.
이날 아침,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96.19포인트(0.44%) 하락해 44,632.34를 기록했고,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6포인트(0.41%) 내린 6,253.35에 거래되고 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 역시 108.67포인트(0.53%) 밀린 20,492.43에 거래되고 있는 상황이다.
무역 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며 투자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12~15개국에 발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부는 화요일과 수요일에 발송될 것"이라며 무역 협상 종료 기한을 7월 9일로 설정했음을 알렸다. 특히 이번 서한 발송은 예상보다 많아진 15개국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내비쳤다.
스콧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CNBC 인터뷰에서 "앞으로 48시간 내에 여러 무역 합의가 발표될 것"이라고 주장하며 협상 분위기를 조성했다. 그는 "어젯밤 제 메일함은 새로운 제안들로 가득 차 있었다"며 협상과 관련한 적극적인 자세를 나타냈다. 이러한 발언은 트럼프의 압박과 함께 무역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2일 각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90일간의 유예 기간을 두어 무역 합의를 위한 협상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영국과 베트남 두 개국 외에는 아직 실질적인 합의가 없으며, 새롭게 부과될 관세는 오는 8월 1일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은 "관세는 8월 1일부터 발효되며 대통령이 지금 당장 협상 입장을 설정하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미국의 추가 관세 서한을 받은 국가들은 협상 시한이 3주가량 연장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모건 스탠리의 세스 카펜터 글로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단기 합의는 범위가 제한적이고 여전히 많은 미해결 질문을 남길 것"이라고 지적하면서 포괄적인 무역 합의가 완료되기까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종목별로는, 테슬라의 주가가 6.9% 급락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머스크 CEO가 지난 5일 새로운 정치적 입장을 밝히면서 테슬라 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졌다. 과거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알려졌던 그는 현재 감세안 비판으로 갈등을 겪고 있으며, 신당을 창당하겠다는 발표로 인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은 것으로 보인다.
미국 국채 금리는 장기물 중심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글로벌 채권 금리 벤치마크인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4.37%로 6bp 상승했다. 통화정책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이전과 같은 3.88%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