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2분기 실적 예상 초과에도 주가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

엔비디아가 발표한 지난 2분기(5~7월) 실적에서 매출 467억 달러, 조정 주당순이익(EPS) 1.05 달러를 기록하며 월가 예상치를 모두 초과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56%, 순이익은 59% 증가한 수치로, 매우 긍정적인 성과로 평가된다.
엔비디아는 3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한 54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AI 칩에 대한 강력한 수요 덕분이다. 반면 월가는 531억 4천만 달러로 예측하고 있어, 엔비디아의 전망치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만, 이번 전망에는 제재로 인해 중국으로의 H20 칩 판매가 일시적으로 중단되었고, 7월에 판매 재개 승인이 난 후의 데이터는 반영되지 않았다.
엔비디아의 매출 중 대부분은 GPU를 포함한 데이터센터 부문에서 발생했으며, 이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56% 증가하여 411억 달러를 기록했다. 엔비디아는 2분기 동안 중국에 H20 칩을 판매하지 못했지만, 대신 중국 외 지역 고객에게 1억8천만 달러 규모의 H20 재고를 판매한 사실도 밝혔다. 이 칩의 중국 판매는 4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규제로 일시 중단되었다.
데이터센터 매출의 절반 가량은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로부터 발생했으며, 이 기업들은 최신 세대 칩인 블랙웰(Blackwell)을 빠르게 매입하고 있다. 2분기 블랙웰 판매량은 1분기 대비 17% 증가하여, 젠슨 황 CEO는 블랙웰이 AI 플랫폼의 중심이라고 강조하며 수요가 폭발적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엔비디아의 게임 부문 매출은 전년 대비 49% 증가한 43억 달러였고, 로보틱스 부문은 69% 증가하여 약 5억8천600만 달러를 기록하는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엔비디아는 로보틱스가 향후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적 호조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3% 이상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일부 애널리스트의 예상치를 하회한 데다, AI 시장의 과열 우려 및 중국 리스크가 투자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 한때 주가는 5% 이상 하락하기도 하였다.
로이터 통신은 H20 칩의 중국 판매가 일시 중단된 것처럼 특정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투자심리 위축에 기여했다고 보도했다. 인베스팅닷컴은 AI 관련 기대가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다는 분석 아래 단기적인 변동성이 클 수 있음을 경고하고 있다.
이처럼 엔비디아는 데이터센터와 AI 부문에서 큰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중국 시장의 규제와 AI 버블의 우려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간과할 수 없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앞으로의 주가 동향과 실적 전망은 다시 한번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