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라이 라마, 90세 생일을 앞두고 "130세 이상 살고 싶다"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법명 톈진 갸초)는 곧 90세가 되는 자신의 생일을 앞두고, 향후 30~40년 이상 살아서 중생을 위해 봉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달라이 라마는 5일, 인도 히말라야 고원지대 다람살라에서 열린 장수 기원 기도회에 참석하여 신도들에게 "여태껏 최선을 다해 살아왔으며, 자비의 보살님 보호 아래 더 많은 시간을 살아볼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그는 "우리는 조국을 잃고 인도에서 망명 중이지만, 이곳에서 중생들에게 많은 이로움을 줄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다람살라에 머물며 불법과 중생을 위해 자신의 힘닿는 한 봉사할 것임을 강조했다. 달라이 라마는 1959년 티베트 수도인 라싸에서 중국의 병합 반대 시위가 진압된 후 인도로 망명했으며, 이후 다람살라에 망명 정부를 세우고 비폭력적인 독립운동을 이끌어왔다.
현재 그의 나이가 90세에 가까워지면서 후계자 문제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티베트 불교 전통에 따르면, 달라이 라마가 사망하면 그의 영혼이 어린아이의 몸으로 환생한다고 믿고 있다. 현 달라이 라마도 두 살 때 전임 달라이 라마의 환생자로 지명된 바 있다.
그는 또한 최근에 진행된 고위급 티베트 불교 종교회의에서도 "달라이 라마 제도는 지속될 것"이라는 확언을 하였다. 그는 과거에 "마지막 달라이 라마가 될 가능성도 있다"고 발언한 적이 있지만, 이번에는 명확하게 제도가 지속될 것임을 천명했다. 아울러 그의 후계자는 중국이 아닌 자유세계에서 환생할 것이라는 점과, 중국이 지명한 인물은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
그러나 달라이 라마의 이런 발언에 대해 중국 정부는 불만을 표시하였다. 중국 외교부는 달라이 라마의 환생 관련 결정이 중국 정부의 승인과 절차를 필요로 한다고 주장하며 의견을 제시했다. 과거 중국은 1995년에도 달라이 라마에 이어 서열 2위인 판첸 라마의 지명에 개입해 논란을 일으킨 바 있으며, 현재도 달라이 라마가 지명한 환생자는 실종 상태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달라이 라마는 앞으로도 많은 중생을 위해 계속해서 헌신하고자 하는 의지를 굳게 다짐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