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에서 박쥐에 물린 50대 남성, 광견병 유사 바이러스로 사망

호주에서 박쥐에 물린 50대 남성이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Australian Bat Lyssavirus)'라는 희귀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했다. 이 사건은 호주 뉴사우스웨일스(NSW)주 보건국이 최근 발표한 바에 따르면, A씨는 몇 개월 전 감염된 박쥐에게 물렸으며, 최근 중태에 빠져 결국 병원에서 숨을 거두었다.
A씨는 NSW주에서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첫 사례로 기록되며, 아울러 호주 전체에서는 네 번째 사례로 확인됐다.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는 1996년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CSIRO)에서 발견되었으며, 박쥐의 침이 인체에 유입될 경우 감염으로 이어진다. 감염된 후 나타나는 증상은 광견병과 유사하여 급속히 악화할 수 있다.
리사바이러스에 감염된 경우 증상이 나타나는 시점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몇 일 후부터 몇 년 뒤까지 이어질 수 있다. 초기 증상은 두통과 발열로 시작되며, 이후 환각,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결국 이러한 질병은 치료 방법이 부족해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위험성을 안고 있다. NSW주 보건국의 케이라 글래스고 국장은 "감염 사례는 매우 드물지만, 감염된 경우 사실상 치료법이 없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1996년 처음으로 박쥐에 의해 감염된 사례가 발견된 이후, 1998년과 2013년에도 여성과 8세 소년이 박쥐에게 물린 후 사망한 사례가 있다. NSW주에서는 지난해만 해도 118명이 박쥐의 물림이나 할큄으로 치료를 받았다. 더욱이 북미에서도 지난해 최소 세 명이 박쥐와의 접촉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전문가들은 호주 내 모든 박쥐가 리사바이러스를 보유할 가능성이 높아, 접촉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박쥐를 맨손으로 만지는 것은 절대 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호주 멜버른대학교의 감염병 전문가 제임스 길커슨 교수는 "호주 박쥐 리사바이러스는 광견병과 유사하며, 감염 후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사망할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NSW주 보건당국은 A씨가 박쥐에게 물린 직후 어떤 치료를 받았는지, 또한 개인의 건강 상태가 감염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조사 중이다. 따라서 박쥐와의 접촉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