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2개국 관세율 명시 서한에 서명…발송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개국의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에 서명했으며, 이 서한은 오는 7일(현지시간) 발송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독립기념일인 4일 에어포스원에서 기자들에게 이 사실을 전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하지만 어떤 국가들에게 서한이 발송될 것인지, 구체적인 관세율에 대해서는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가 설정한 상호관세 유예 기간은 8일에 만료될 예정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해당 국가에 책정된 상호관세율이 10~20%에서 60~70% 수준으로 증가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관세가 부과되는 시점은 8월 1일로 예정되어 있다. 이러한 조치는 글로벌 무역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국가 간 무역 관계에 긴장감을 더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미국이 제안한 가자지구 휴전안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그는 내주까지 가자지구에서 휴전 합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하며, 이 변화가 중동 지역의 안정에 기여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편으로 중국계 플랫폼 '틱톡'의 매각 문제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중국 측과의 대화가 7일 또는 8일에 시작될 것이라며, 합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대화 상대방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나 그의 대리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러한 이러한 협상은 향후 미국과 중국 간의 경제적 긴장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란 문제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이 핵 계획에 대한 사찰에 동의하지 않았고 우라늄 농축을 포기하는 데도 응하지 않았다고 발언했다. 그는 이란의 핵 계획이 앞으로도 제약을 받을 것이라 확신하면서도, 이란이 다른 장소에서 핵 계획을 재개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그는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의 7일 백악관 회담에서 이란 문제를 심도 있게 논의할 것임을 밝혔다.
이번 서한 발송과 무역 정책 변화, 중동 정세와 관련된 발언들은 미국의 외교 및 경제 전략에 있어 중대한 전환점을 될 것으로 전망된다. 각국은 이로 인해 촉발될 수 있는 경제적 여파와 정치적 변화에 대해 촉각을 세우고 있으며, 이러한 움직임이 향후 국제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