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7월 CPI 발표 앞두고 일제히 하락…다우지수 0.45%↓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식시장이 일제히 하락세로 마감했다. 이는 이번 주에 발표될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대한 경계감 때문으로 보인다.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0.52포인트(0.45%) 떨어진 4만3975.09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6포인트(0.25%) 하락해 6373.45로 마감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64.62포인트(0.3%) 떨어져 2만1385.4로 종가를 기록했다.
시장의 초점은 12일 발표될 7월 CPI에 쏠리고 있다. 시장에서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8%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6월의 2.7%보다 높은 수치다. 변동성이 큰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 대비 3.0% 상승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6월의 2.9%를 소폭 웃도는 수치다. 지난 4월 저점 이후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온 가운데,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 상승세가 제한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고용 둔화 조짐이 뚜렷해짐에 따라 시장은 이번 CPI 발표를 통해 금리 인하 폭을 가늠할 것으로 보인다.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내릴 가능성이 86.5%로 반영되고 있다. 연내 0.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3.8%, 0.75%포인트 인하 가능성은 42.8%에 달하고 있다. 그러나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에 대해 과도하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CFRA 리서치의 샘 스토벌 최고 투자 전략가는 "시장이 실망할 까봐 걱정된다"며, "소비자가 계속 지출을 유지한다면 Fed가 금리 인하를 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의문을 제기했다. 이번 주에는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소매판매 지표도 차례로 발표될 예정인데, PPI는 14일에 전월 대비 0.2%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소매판매는 15일에 발표되며 0.5%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미·중 간의 관세 휴전을 90일 추가 연장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무역 합의에 대한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되고 있으나, 투자자들은 경계심을 늦추지 않고 있다.
특히,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엔비디아와 AMD 주가는 각각 0.32%와 0.28% 하락했으며, 반면 인텔은 3.66% 상승했다. 이는 인텔의 최고경영자(CEO)가 백악관을 방문할 것이라는 소식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금 가격은 최고치를 경신하며, 향후 관세 부과 여부에 따라 시장이 크게 요동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금리와 주식시장, 그리고 국제무역의 관계는 상호연관성이 깊어, 향후 경제 정책 및 시장의 흐름을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시점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