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7월 제조업 PMI 49.3… 넉 달 연속 ‘수축’세 계속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중국의 7월 제조업 PMI 49.3… 넉 달 연속 ‘수축’세 계속

코인개미 0 6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7월에 49.3을 기록하며 넉 달 연속으로 수축세를 이어갔다. 이는 지난 6월의 49.7보다 0.4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예상치를 하회하여 시장에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하락 원인은 폭염과 홍수 같은 극심한 기후 조건 및 미국의 대중관세 정책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제조업 PMI가 50 이하로 떨어졌다는 것은 경기 수축을 나타내며, 이는 경기 회복을 위한 부정적인 신호로 여겨진다. 50 이상이면 경제 확장을, 50 이하면 수축을 의미하는 이 지표는 기업 구매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에 기초하고 있다.

비제조업 부문도 부진을 겪고 있으며, 건설업과 서비스업을 포함한 비제조업 PMI는 7월에 50.1로, 전월의 50.5보다 0.4포인트 감소하였다. 각 업종별로 살펴보면, 건설업의 경기지수는 50.6으로 전월의 52.8에서 2.2포인트 하락하였고, 서비스업 지수는 50.0에서 50.1로 소폭 미세하게 낮아졌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종합 PMI는 50.2로, 전월의 50.7에서 0.5포인트 줄어들면서 전반적인 경제 불안정을 더욱 부각시켰다. 자오칭허 중국 국가통계국 서비스업 조사 센터 고급통계사는 "7월 제조업은 전통적인 비수기에 진입하며 기후 재해와 같은 외부 요인이 겹치면서 전월보다 실적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또한, 컨설팅 회사 타이달웨이브 솔루션의 캐머런 존슨 수석 파트너는 낮은 PMI 수치의 배경에 대해 기후 문제 외에도 베트남 등 관세가 낮은 국가로의 생산 이전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그는 "미·중 간의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일부 생산 활동이 지속적으로 낮은 비용의 국가로 이동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중국은 올해 상반기 동안 5.3%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며 정부 목표인 5% 안팎을 초과했으나, 하반기에는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경제 정책에 대한 논의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제 상황은 글로벌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며, 투자자들의 주의 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