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년 만에 영국 왕실 천문관에 여성 과학자 배출, 미셸 도허티 교수 임명

미셸 도허티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우주물리학 교수가 최근 영국 왕실 천문관(Astronomer Royal)으로 임명되면서 350년의 역사 속에 첫 번째 여성 과학자로 기록되었다. 31일 연합뉴스는 영국 내각부가 도허티 교수를 제16대 왕실 천문관으로 선임했다고 보도했다. 이 직책은 찰스 2세 국왕이 1675년 그리니치 왕립 관측소의 설립과 함께 제정한 것으로, 천문학 분야의 권위자에게 주어지는 명예직이다.
도허티 교수는 행성의 자기장에 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으며, 특히 토성의 위성 엔켈라두스의 대기에 수분과 탄화수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발견한 성과로 주목받았다. 그는 NASA와 ESA의 공동 프로젝트인 카시니·하위헌스에서 토성 자기장 데이터 분석을 담당했으며, ESA의 목성 위성 탐사선 주스의 자력계 수석 연구원으로도 활동한 바 있다. 그는 2008년 전기 및 자기 분야에서 독창적인 발견을 한 학자에게 수여되는 에 대한 휴즈 메달을 수상하기도 했다.
도허티 교수는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적 아버지의 손으로 만든 망원경으로 10세에 처음으로 천체를 관측하는 경험을 했다. 하지만 중고등학교 시절 과학 과목이 개설되지 않아 과학에 대한 기초 학습이 없었던 그는 수학을 통해 대학에서 과학 강의를 수강할 기회를 얻게 되었고, 그 결과 천문학 분야의 저명한 리더로 성장하게 되었다. 현재 그는 "어렸을 적의 꿈이 실제로 이뤄졌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며 대중에게 천문학의 흥미와 중요성을 알리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350년의 역사 속에서 왕실 천문관으로 임명된 인물은 모두 남성이었으며, 초대 천문관인 존 플램스티드는 1690년 천왕성 관측을 최초로 기록한 것으로 유명하다. 도허티 교수는 BBC 라디오 인터뷰에서 "내가 소임을 맡게 된 것은 내가 이룬 업적 때문이지 성별 때문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녀는 미래의 여성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제공하고, 그들이 충분히 이러한 역할을 꿈꿀 수 있도록 돕고 싶다고 밝혔다.
도허티 교수의 임명은 천문학 분야에서 여성의 진출을 의미하는 큰 이정표가 되며, 앞으로 많은 여성들이 과학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해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