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트럼프 대통령의 북한 비핵화 대화 의지 밝혀

미국 백악관은 북한과의 비핵화 대화에 여전히 개방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북한의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비핵화 협상 가능성을 부인한 상황에서도, 미국 측에서 대화를 위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관계자는 28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종식하기 위해 북한의 지도자인 김정은과의 소통을 여전히 원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부부장은 북미 간의 접촉이 미국의 '희망'에 불과하다고 비판하면서도,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 자체는 없을 것이라는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는 또한 북한의 핵 보유국 지위를 언급하며, 미국 측이 이러한 변화한 환경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핵무기를 보유한 두 국가 간의 갈등은 서로에게 유익하지 않다는 점을 인식할 최소한의 판단력을 가져야 한다"며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대화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는 비핵화 협상은 어려워도, 다른 주제를 가지고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는 암시로 해석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외교적 접근을 지속적으로 모색할 의지가 있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임기 중 김정은과 세 차례의 정상회담을 개최한 바 있다. 2018년 6월 싱가포르에서,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그리고 같은 해 6월 판문점에서의 회동이 있었다.
백악관 관계자는 지난 25일에도 북한의 완전 비핵화를 위한 김정은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을 다시 강조했다. 이는 북한의 핵 문제와 관련된 국제사회의 우려를 반영한 것으로, 대화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같은 대화의 지속적인 필요성을 지지하며, 북한과의 외교적 접근을 통해 핵 문제 해결을 노리고 있다. 그러나 북한 측의 비판적 태도가 지속되고 있는 만큼, 향후 대화 과정에서 어떤 실제적인 성과가 도출될지는 불확실한 상태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