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금리 하락 시 장기 국채 발행 계획 세워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금리가 하락하기를 기다렸다가 장기 국채 발행을 시작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에 따른 것으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금리가 내려간 후 장기 채권 발행을 확대할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장기 국채를 발행하면 이자 비용이 상당히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는 보다 유리한 조건이 마련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장기 국채는 발행 시점의 금리가 이자 지급에 영향을 미치므로, 금리가 높은 현재 시점에서 장기 국채를 발행하면 정부는 이후 10~30년 동안 높은 이자 부담을 안게 된다. 반면 금리가 하락한 이후에 장기 채권을 발행하면 차입 비용이 낮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물러난 뒤 금리를 크게 낮춘 후 장기 국채 발행으로 전환하겠다고 발언했다. 이는 전통적인 국채 발행 관행과는 다른 행보로, 과거 미 재무부가 정기적이고 예측 가능하게 채권을 발행해온 대조적 사례로 볼 수 있다. 정부가 예측할 수 없는 방식으로 국채를 발행하면 시장의 불확실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곧 발표 예정인 분기별 환매공고를 통해 공식적인 차입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시장 예측에 따르면, 재무부는 당분간 20~30년 만기 장기 국채 발행 속도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금 수요 증가로 인해 단기 국채 발행 비중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마이클 폴크렌더 재무부 부장관은 시장 참여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정기적이고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 채권 발행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투자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를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장기 국채 발행 증가가 채권 시장에 추가 압박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인데, 단기채와 장기채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한다. 단기채는 이자율이 낮아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지만, 금리 변동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장기채는 이자율은 높지만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에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정부가 단기채에 지나치게 의존하면 장기적으로 재정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시장 타이밍 전략을 지향하는 정부의 메시지가 실질적으로 고객의 신뢰를 떨어뜨려 국채 매도 압박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우려는 정부의 차입 결정에 대한 위험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이 기대에 부응하지 못할 경우 투매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