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비 상장 지연, 거래소와의 의견 불일치가 주요 원인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채비 상장 지연, 거래소와의 의견 불일치가 주요 원인

코인개미 0 20
10feccdb10055a2f99b4363ebe826863_1726120522_8362.png


전기차 충전 서비스 기업 채비(CHAEVI)의 상장 일정이 예상보다 늦어지고 있다. 본래 6월 중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할 계획이었으나, 한국거래소와의 협상이 예상보다 길어지며 그 일정이 밀려나고 있다. 채비와 주관사단은 여전히 7월 내에 청구서를 제출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진행 중인 논의에서 핵심적인 쟁점은 기업 가치 평가와 관련된 시가총액 1조원 요건이다.

시가총액 1조원 요건은 해당 기업이 이 기준을 충족할 경우, 자기자본이나 매출액 등 다른 재무 요건을 갖추지 않아도 코스피 상장이 가능하도록 허용하는 제도이다. 이는 아직 적자 상태로 있는 기업이더라도 성장 가능성이 클 경우 상장할 수 있게 하여, 투자자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이다.

채비는 전기차 충전기 개발, 제조, 설치, 서비스 등 전기차 충전 관련 종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최근 매출도 증가세를 보였지만 수익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작년에는 85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20%의 성장률을 보였지만, 동시에 275억원의 영업손실과 544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따라서 거래소 측에서는 채비의 현재 실적을 고려할 때 상장에 대한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거래소 측은 채비가 코스닥에 상장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 조건은 약 5000억에서 1조원 사이의 몸값으로 상장하는 것이지만, 투자자들은 채비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며 현재 1조원 이상의 몸값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채비는 최근 스틱인베스트먼트와 KB자산운용에서 각각 600억원을 포함, 총 12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이때 기업 가치는 약 46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최근 매출 성장 덕분에 투자자들은 1조원 이상의 가치를 요구하고 있어 거래소와의 입장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결국 채비의 상장 지연은 거래소와 투자자 간의 이해관계의 마찰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채비는 시가총액 1조원 요건을 충족하며 상장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자와 거래소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협의가 이루어져야만 상장 일정이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Linked Image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