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감세법안 통과, 시장 차분한 반응 보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감세 패키지 법안이 미국 연방 의회를 통과하면서 금융시장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이날 통과된 감세안은 트럼프 행정부의 첫 임기 동안 실시된 세금 감면 조치를 연장하는 형태로, 시장 참여자들은 과거의 정책이 이미 가격에 반영되어 있었기 때문에 즉각적인 반응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로 오는 8일에 예정된 상호관세 협상,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방향, 그리고 기업 실적 발표를 꼽았다. 실제로 법안이 통과된 후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소폭 상승하며 4.346%에 머물렀다. 이 상승은 감세안 때문이 아니라, 예상보다 좋은 고용지표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티로프라이스의 팀 머레이 수석전략가는 이번 법안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으며, 긴급하게 채권 시장에 큰 변화를 야기할 가능성은 없다고 분석하고 있다. 그는 "대부분의 감세 조치는 과거의 미국 세제 혜택을 연장했기 때문에 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미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외환시장 또한 큰 변동이 없었다. 베녹번 글로벌포렉스의 마크 챈들러 부사장은 "법안 통과는 이미 예상된 일이었으며, 미국 독립기념일 연휴를 앞둔 시점이라 시장에서의 반응은 차분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은 차분한 반응 속에서, 뉴욕증시는 상승세로 마감하며 S&P500 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문가들은 이는 강한 고용지표가 경기 둔화 우려를 완화시켰고, Fed의 금리 인하 시점이 뒤로 밀릴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하고 있다.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은 감세안보다는 기업 실적과 Fed의 금융정책, 그리고 관세 협상 결과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코타 웰스의 로버트 패블릭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이번 법안이 시장의 주요 동력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하며, 기업 실적 발표와 Fed의 통화정책이 더욱 중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채권시장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국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감세안 시행으로 인해 향후 10년간 재정적자가 3조 3천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미 재무부는 대규모 단기 국채 발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은 단기적으로 정부의 조달 비용을 낮출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장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블랙록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해외 투자자들의 미국 국채 선호가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수요 부족으로 이어져 차입 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며 경고했다. 이와 함께 만약 재정적자 확대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면,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을 회피하는 '역효과'가 발생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결국 정부의 자금 조달이 더욱 어려워지고, 이로 인해 국채 금리를 올려야 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장단기 금리차 확대와 함께 달러의 약세가 가속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향후 미국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