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4일부터 각국에 관세율 통보하는 서한 발송 예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간)부터 각국에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이는 8일로 예정된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를 앞두고 각국을 대상으로 하는 협상 압박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내일부터 하루에 10개국씩 여러 나라에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전하며, "서한에는 각국이 미국과 거래할 때 지불해야 할 금액이 포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은 또한 "영국과 베트남 외에도 몇 가지 다른 합의가 예상되며, 관세를 낮춘 내용을 담은 서한이 될 것"이라며 이러한 접근이 훨씬 수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발언은 오는 8일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종료되기 전에 각국을 대상으로 관련 통보를 하여 협상을 활성화하려는 의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유예 연장 가능성도 언급되는 등, 각국이 긴급히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57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지난 4월 2일 발표하며, 이틀 후인 9일부터 시행에 들어갔지만 즉시 90일 유예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이러한 유예 기간은 각국과의 협상을 위한 마지노선을 설정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표였으며, 이를 통해 관세율, 무역 균형 및 비관세 장벽의 철폐 등을 목적으로 한 무역 협상이 진행되어 왔다.
무역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가 각국에 대한 압박을 극대화하고, 더욱 유리한 조건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대통령의 발언은 각국과의 대화 재개를 촉진하고, 실패시에는 부과될 관세율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하여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도록 유도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동안 미국은 무역 문제에 있어 강경한 입장을 견지해 왔으며, 이는 무역 파트너들과의 관계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각국은 트럼프 행정부가 제시할 관세율을 신중히 분석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 서한 발송이 실제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가운데, 이러한 조치가 각국의 전반적인 무역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