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 북한 김여정 담화에 대한 입장 발표

미국 정부는 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발표한 담화에 대해 반응을 보였다. 김 부부장은 북-미 정상 간 개인적 관계는 긍정적이지만 비핵화 협상은 어렵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와 관련하여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29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사람들에게 평화와 번영을 제공하기 위해 누구와도 대화할 의지가 있다”고 언급했다.
브루스 대변인은 김 부부장의 담화에 대한 질문에 이같이 답변하며, 대통령과 외국 정상 간의 관계에 대해 더 구체적인 논의는 백악관에 문의하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첫 임기 동안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세 차례의 정상 회담을 가졌지만 비핵화 목표는 이루지 못했던 사실을 강조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김 부부장이 언급한 비핵화 협상이 불가능하다는 주제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여전히 김 위원장과 대화할 의사가 있다고 전했다. 이는 북한과의 비핵화 대화에 대한 열린 태도를 이끌어내려는 미국의 입장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국무부 대변인은 또한 뉴욕 유엔 본부에서 열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두 국가 해법' 논의가 비생산적이고 부적절한 회의라는 비판을 하며, 이런 회의가 단순한 홍보용 이벤트로 전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자지구 내 기아 상황이 심각하다는 주장에 대한 반응도 있었다. 그는 더 많은 지원을 가자지구에 제공하는 것이 초점이라고 설명했으며, 현재 휴전 협상은 하마스의 반대 때문에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만 관련 논란에서도 미국의 입장이 드러났다. 라이칭더 대만 총통이 미국 뉴욕을 경유해 중남미를 방문하려고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제지로 취소된 사건에 대해, 대변인은 이는 미국의 오랜 정책과 일치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고수해온 만큼, 대만 총통의 경유 문제는 일관된 정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대만 외교부 또한 대만 총통의 해외 방문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발표하며 미국 측의 경유 불허 주장에 반박했다.
미국 정부의 이러한 반응들은 북한과의 외교적 관계 강화와 더불어, 중동 및 대만 문제에서의 미국의 입장을 전하는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앞으로의 외교적 대화와 협상이 어떻게 전개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