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엇갈린 기업 실적과 금리 결정 앞두고 전반적인 하락세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뉴욕증시, 엇갈린 기업 실적과 금리 결정 앞두고 전반적인 하락세

코인개미 0 6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2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는 주요 지수가 일제히 하락하며 마감했다. 미국과 중국 간 무역 전쟁에 대한 우려가 다소 줄어든 상황에서도, 투자자들은 소화하기 어려운 기업 실적과 다가오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결정을 앞두고 경계감을 나타냈다. 특히, 고용 둔화 신호와 무역 불확실성의 완화가 겹친 덕분에 미 국채 금리는 10년물 기준으로 10bp(1bp=0.01%포인트) 이상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날 블루칩 중심의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04.57포인트(0.46%) 하락한 4만4632.99로 마감했으며,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18.91포인트(0.3%) 내린 6370.86,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80.29포인트(0.38%) 미끄러진 2만1098.29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장중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마감 임박에 매도 압력이 커지며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번 하락세는 최근 증권 시장에서의 랠리로 인한 밸류에이션 부담이 심리적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상이한 무역 이슈가 최근 증시 소폭 상승으로 이어졌지만, 시장의 민감도는 낮아지는 분위기다. 이날 미국과 중국의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이 합의되었다는 소식에도 불구하고 주가는 큰 변동이 없었다.

미국과 중국의 대표들은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제3차 무역 협상에서 관세 유예 조치를 90일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 잠정 합의했다고 밝혔으며, 이는 11일 종료될 예정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이와 함께 투자자들의 관심은 30일로 예정된 Fed의 기준금리 결정에 쏠리고 있다. Fed는 연 4.25%에서 4.5% 사이의 기준금리를 결정할 예정이다. 동결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향후 금리에 대한 Fed 위원들의 견해 차이나 제롬 파월 의장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기업 실적 또한 시장의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이번 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 애플, 아마존과 같은 대형 IT 기업들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경제 전망은 긍정적이나 인공지능(AI) 투자 수익이 실질적으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지금까지 발표된 S&P500 기업들의 절반 이상이 시장의 기대치를 초과하는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경제 지표 발표 결과는 엇갈리게 나타났다. 미 노동부의 구인·이직보고서에 따르면, 6월 구인 건수는 743만7000건으로 집계되어 지난 달보다 27만5000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장의 예상인 751만건도 하회했다. 기업들이 무역 정책에 대한 확신이 부족해져 신규 투자와 채용에 신중하게 나선 결과로 해석된다.

반면에 소비 심리는 개선되었다. 콘퍼런스보드의 7월 소비자신뢰지수는 97.2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하였으며, 이는 시장 전망치인 95.9를 웃도는 결과이다. 이러한 소비자 심리 개선은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협상 타결 소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된다.

전반적으로 올해 남은 기간 동안, Fed의 통화정책 회의, 주요 기업의 성과 발표, 그리고 중요한 경제 지표 발표에 따라 시장의 투자 심리는 크게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고용 둔화 시그널이 지속되면서 미 국채 금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