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시에서 프랑스인 수영장 출입 제한…여성에 대한 부적절한 행동 문제

스위스의 한 도시는 최근 프랑스인들의 시립 수영장 출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하여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도시는 일부 이용객들이 여성에게 추근대거나, 수영장 직원과 마찰을 일으키는 등 부적절한 행동을 하고 있으며, 심지어 속옷 차림으로 수영을 하는 문제를 지적했다. 이에 따라 포랑트뤼시는 8월 말까지 스위스 시민, 거주 허가증 소지자, 그리고 유효한 스위스 근로허가증 소지자만 수영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고 있다.
시는 이번 조치에 대해 최근의 폭염으로 인해 수영장 이용자가 급증했고, 이에 따라 무질서한 상황과 규정을 위반하는 사례가 다수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수영장 개장 이래로 20명 이상의 이용객이 규칙을 위반해 퇴장 조치 또는 출입 금지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수영장이 최대 1000명을 수용할 수 있지만, 현재 수요가 그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이며, 지역 세금을 내는 주민들이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논리에서 비롯되었다.
포랑트뤼시 당국은 공식적으로 특정 국적, 즉 프랑스인을 지목하지는 않았지만, 제한 조치로 영향을 받는 인원이 약 95%가 프랑스인이라고 전해졌다. 이로 인해 프랑스 내에서는 "이웃 국가에 대한 차별"이라는 비판이 확산되고 있으며, 그랑테스트 지역의 크리스티앙 지메르망 국민연합 의원은 포랑트뤼시 시장에게 차별적이고 과도한 조치를 철회하라는 요청의 서한을 보냈다.
하지만 에거츠윌러 시장은 논란에 대해 "이번 조치는 특정 국적을 겨냥한 것이 아니며, 시민의 안전과 공공 질서 유지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특정 국적과 무관하게 모든 이용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임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태는 지역 사회와 프랑스 간의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두 나라 간 외교적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은 공공장소에서의 예의와 규범 유지를 위한 조치가 어떻게 인종이나 국적에 대한 불만으로 비화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앞으로도 유사한 사건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역 사회의 협력과 소통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