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노동자 실질임금, 5개월 연속 감소 세 지속

일본의 노동자 실질임금이 5개월 연속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생노동성이 발표한 '5월 근로통계조사(속보치)'에 따르면, 직원 5명 이상의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1인당 평균 명목 임금은 월 30만141엔(약 284만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0% 증가했다. 이는 명목 임금 상승세가 4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명목 임금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질임금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물가 변동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1년 전보다 2.9% 감소하여 5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였으며, 이 감소폭은 2023년 9월 이후 최대치로 기록되었다. 후생노동성은 "실질임금의 감소폭 확대는 물가 상승과 더불어 보너스 감소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며 향후 동향을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고 언급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 5월, 2029년까지 1% 수준의 실질임금 상승률을 정착시키는 것을 정책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달성을 위한 여러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실제로 실질임금의 감소는 임금 인상과 물가 상승 간의 불균형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로 작용하고 있어, 노동자들의 구매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기업의 영업 환경에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전반적인 경제 지표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노동시장 전체에서 보편적인 높은 임금 인상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도,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실질적 구매력 감소 현상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노동자들은 생활비 증가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우려를 낳고 있다.
따라서 일본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실질임금 향상을 위한 보다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일본의 이번 실질임금 감소가 향후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층 분석이 필요하며, 노동시장 안정을 위한 정책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