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9일까지 대다수 관세 협상 마무리…서한 없으면 합의도 없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 시각) 무역 파트너 국가에 보낼 관세 서한 발송 및 협상 종료 목표일을 오는 9일로 설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뉴저지주에서 워싱턴 DC 백악관으로 돌아오기 직전 공항에서 취재진과의 인터뷰에서 전한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7일)에 최대 15개국에 서한을 발송할 계획이며, 일부 국가는 화요일(8일)과 수요일(9일)에 서한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일부 국가와는 이미 협상이 타결되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7월 9일 이후 관세율에 변화가 있을지 묻자, 그는 “대부분 국가와의 협상을 7월 9일까지 완료할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서한 또는 협의를 통한 결과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관세가 8월 1일부터 발효될 것이라고 설명하며, “대통령은 현재 관세율과 관련된 합의를 체결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과 러트닉 장관의 공동 성명으로 해석되며, 4월 2일 발표된 상호 관세 유예 기한이 종료되는 9일까지 일부 국가와의 협상이 타결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협상이 미비한 국가에 대해서는 미국이 무역적자 및 비관세 장벽 등을 고려해 일방적으로 설정한 관세율을 담은 서한을 발송하여 협상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그러나 관세 발효일이 8월 1일로 정해진 만큼, 특정 국가가 관세율 명시된 서한을 받더라도 협상이 계속 진행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현재 여러 나라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그의 최종 결정에 달려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의 무역 정책에 중요한 기로에 서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국제 무역의 복잡성과 각국의 상호작용을 더욱 두드러지게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협상은 미국 경제의 탄력성을 높이는 동시에, 글로벌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대시키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