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한국에 25% 관세 부과 경고…차량 및 철강 분야에서 인하 난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며 한국과 일본 두 나라에게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두 동맹국을 겨냥한 이 조치를 SNS를 통해 공개하며 협상에 대한 긴박감을 조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 정부는 남은 3주간의 유예 기간 동안 적극적인 대미 협상을 통해 가능한 최대한의 관세 인하를 이끌어내야 할 중대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14개국에 각각 25%에서 40%의 관세를 부과하는 서한을 전달했으며, 해당 서한에서 "2025년 8월 1일부터 모든 한국산 제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명시했다. 이러한 조치는 한국의 대미 무역적자 해소를 위한 절차로, 한국이 반발할 경우 추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는 경고도 포함되어 있다.
이번 상호관세는 기존의 품목별 관세와는 별도로 적용된다고 전해졌다. 현재 미국은 한국산 수입 자동차와 철강에 각각 25%와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러한 품목들은 한국의 주요 수출품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장벽을 완화하는 조건 하에 이를 조정할 가능성도 제시했으며, 한국의 협상이 긍정적일 경우 관세가 하향 조정될 수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대미 무역적자 규모에서 각각 8위와 7위를 차지하고 있어, 트럼프 대통령은 이 두 나라에 대해 장기적인 전략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대미 무역 현안이 유사한 양국은 차량과 철강 분야의 관세 인하를 원하고 있지만, 동시에 미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시장 개방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이러한 상황은 트럼프 대통령의 불만을 샀으며, 무역 협상에서는 동맹국도 예외가 없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서한에 대한 대응책으로 우선 비관세장벽을 낮추고 자동차와 농축산물 시장의 개방을 고려하고 있으며, 핵심 산업 분야에서의 협력 확대를 통해 협상 여지를 넓히려는 계획도 수립하고 있다. 특히 국방비 증액 및 주한미군의 역할 재조정 등이 미국의 안보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어 이러한 이슈를 함께 논의할 가능성이 크다. 이란 맥락에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방미할 예정이며, 이 회동 통해 한미 정상회담에서의 관세와 안보 현안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강경한 태도가 지속되는 가운데, 한국의 주력 수출 품목인 자동차 및 철강에 대한 관세가 큰 폭으로 인하되지 않을 경우 한국 경제에 심각한 타격이 예상된다. 따라서 남은 유예 기간 동안의 대미 협상은 한국 정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