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반발… "황제는 필요 없다"

러시아와 중국 등 비서방 신흥 경제국으로 구성된 브릭스(BRICS) 회원국들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추가 관세 위협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7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17차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미국의 거대 국가가 세계를 온라인으로 협박하는 것은 매우 잘못된 일"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의 행동을 비판했다. 그는 "우리는 황제를 원하지 않는다"며, 국제 무대에서 주권 국가로서의 독립성을 강조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브릭스의 반미 정책에 동조하는 국가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 이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감시 하에 있는 이란의 군사 공격 등을 언급하며, 글로벌 무역 질서에 대한 우려를 내비친 브릭스 정상회의의 성명서 발표 이후 나왔다. 이에 대해 브라질의 세우수 아모링 대통령실 국제관계 특별보좌관은 CNN 브라질과의 인터뷰에서 미국의 관세 조치를 "제 발에 총 쏘기"라며 미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브라질의 대미 교역에서 지난해 400억 헤알(약 10조 원)의 적자를 기록한 아모링 특보는 "문제의 핵심은 미국의 관세가 아니라 글로벌 교역 시스템의 변화"라고 언급하였다. 그는 다자 간 협상 대신 양자 간 협상으로의 전환을 더 중대한 과제로 제시하며, 지속적인 위협과 관세 정책은 다른 국가들이 대안을 찾아 협상하게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브릭스 회원국 간의 연대와 협력을 통한 대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브릭스 정상회의에 참석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도 트럼프의 위협에 대해 실망감을 표현했다. 그는 "브릭스 같은 긍정적인 연합체의 움직임을 부정적으로 보고 참여국을 처벌하려는 모습은 정말 실망스럽다"며 "힘이 옳음이 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브릭스는 강대국과의 경쟁을 추구하지 않으며, 공동의 이해를 위한 구심점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외무부 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는 브릭스 내의 회원국 간 협력은 제3국을 겨냥한 것이 아니며, 앞으로도 그러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브릭스가 회원국의 공통 관심사를 도모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이미 발휘하기 시작했다고 강조하였다.
브릭스는 2009년 설립 이후 5개국(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최근 11개 국가(이집트, 에티오피아,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인도네시아)로 확대되며 국제적으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브릭스 국가의 명목 국내총생산(GDP) 비중은 세계 경제의 약 39%를 차지하고 있어, 이들의 연대와 협력은 글로벌 경제에 significant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