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공육, 하루 한 조각도 위험…대장암과 당뇨병의 주요 원인"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가공육을 하루에 소량이라도 섭취하는 것은 제2형 당뇨병과 대장암의 발생 위험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가공육의 '안전 섭취량'이 존재하지 않다는 점이 특히 두드러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난 4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를 통해 보도된 바 있으며, 미국 시애틀 워싱턴대학교 보건계량평가연구소(IHME) 연구진이 70건 이상의 기존 연구 데이터를 종합 분석하여 발표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매일 약 50그램, 즉 핫도그 한 개 분량의 가공육을 섭취할 경우, 가공육을 전혀 먹지 않는 사람에 비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11%, 대장암 위험은 7% 높아진다고 한다. 또한 설탕이 포함된 가당 음료를 하루에 한 캔 더 마시는 것도 당뇨병 위험을 8%, 허혈성 심장질환 위험을 2% 증가시킨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특히 트랜스지방의 경우 하루 소량 섭취 시에도 심장병 위험을 3%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
연구진은 이러한 식품들이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도 줄이거나 피하라는 권고를 받고 있는 대표적인 위험 식품군임을 강조하며, 건강을 위해서는 일상적으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앞서의 많은 연구들도 이러한 가공육이 암, 심혈관 질환, 치매 등 다양한 건강 문제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해왔다.
이번 연구는 특히 '얼마나 먹으면 위험이 증가하는가'에 대한 정량적인 용량-반응 관계를 분석했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하다. 가공육은 일반적으로 훈제, 염장, 발효, 화학 보존처리 등의 과정을 거치어 제조되며, 주요 식품으로는 베이컨, 햄, 핫도그, 소시지, 살라미, 그리고 육포가 포함된다.
그러나 이 연구는 관찰 연구 기반의 메타 분석에 따른 것으로 인과관계를 직접 입증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연구진은 식이섭취량 조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억 오류 등의 측정오차 가능성을 언급하면서도, 습관적으로 매일 조금씩 섭취하는 것이 더 큰 위험임을 거듭 강조하였다. 따라서 초가공식품 섭취를 최소화하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결론지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