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AI 인재 100명 중 절반이 중국인… 품질 격차 해소는 시간 문제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명의 인재 중 절반 이상이 중국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산하 중국투자진흥사무소와 데이터 기술 회사인 동비의 분석 결과를 인용하여, 상위 100명의 AI 전문가 중 50명이 중국의 연구소나 기업에 소속된 중국인이라고 보도했다.
이번 분석은 2015년부터 2024년까지 20만 명 이상의 연구자와 9만 6천여 편의 학술 논문, 그리고 국제 학회에서의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종합 평가한 결과다. 조사에 따르면 미국 내 AI 전문가 20명 중 절반이 중국 출신이거나 중국계이며, 다른 나라에서 활동하는 중국 출신 연구자를 포함하면 그 수치는 더욱 증가하게 된다.
특히, 조사에는 컴퓨터 비전 분야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허카이밍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 부교수도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21세기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의 저자라는 점에서 중요성이 더해진다.
AI 연구 인력의 증가세도 주목할 만하다. 2015년에는 1만 명도 되지 않았던 중국 내 AI 연구 인력 수가 지난해에는 5만 2천 명으로 급증하며 그 비중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전체 AI 연구자 수는 여전히 미국이 6만 3천여 명으로 가장 많다. AI 연구 관련 순위에서도 중국의 베이징대가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연구 산출량을 기록하며, 칭화대와 저장대가 그 뒤를 잇고 있다. 이처럼 상위 10개 대학 중 절반이 중국 기관이라는 사실은 중국의 AI 기술력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022년 기준으로 중국 AI 시장 규모는 약 4000억 위안에 달하며, 2028년에는 8110억 위안에 이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특히, 지난 3월 중국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에서는 AI와 양자 과학 등 첨단 산업에 1조 위안 규모의 펀드를 설립할 계획이 발표되며 중국의 AI 발전 의지를 드러냈다.
또한, 스탠퍼드대의 인간중심 AI 연구소가 발표한 'AI 인덱스 보고서 2025'에 따르면, 미국과 중국의 최고 AI 모델 간 성능 격차는 지난 2월 기준 1.7%로 나타났다. 구글의 AI 모델이 1385점을 기록한 반면, 중국의 최고 AI 모델인 딥시크는 1362점을 받아 근접한 성능을 보였다.
보고서는 미국이 AI 모델 개발에서 양적 우위를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의 모델 품질 격차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023년의 성과 차이는 두 자릿수였으나 2024년에는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좁혀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미래의 AI 경쟁에서 중국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임을 시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