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대, 트럼프 정부와의 협상에서 벌금 5억달러 지급 합의 전락

미국의 명문 하버드대학교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연방 정부와의 협상에서 자칫 최대 5억달러(약 6959억원)에 해당하는 벌금을 내기로 할 의향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민권법을 위반했다는 문제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논의로, 하버드대가 반유대주의 논란에서 벗어나기 위한 움직임으로 해석될 수 있다. 최근 뉴욕타임스(NYT)는 하버드대가 정부에 직접적인 금전 지급에는 다소 망설이고 있다고 전하며, 구체적인 재정적 조건을 협의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하버드대가 이와 같은 입장을 보이게 된 원인은 지난해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지역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미국 내에서 반이스라엘 정서가 확산된 것과 깊은 연관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상황을 반유대적 행위로 간주하고, 이는 대학 내에서의 유대인 인권 문제로 이어졌다. 트럼프 정부는 아이비리그를 포함한 60개 대학에 대해 조사를 진행한 바 있으며, 하버드대는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의 폐기와 정부의 통제를 더욱 강화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그러나 하버드대는 이러한 요구를 거부하면서 정부의 압박을 더욱 증가시켰고, 이로 인해 외국인 유학생 퇴출 및 연방 지원금 중단 등의 조치가 취해질 수 있음을 알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과거 자신의 SNS에서 하버드대를 비판하며 "하버드대는 명문대 리스트에서 빠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이러한 발언에 대해 대통령의 압박이 사립대의 교육을 좌우할 수는 없다고 반박하며 맞섰다. 그러나 하버드대 측은 최근 정부가 유대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위협을 방치했다는 민권법 위반 통지서를 수신하며 추가적 압박 사태를 맞이했다. 경쟁 대학인 컬럼비아대는 비슷한 혐의로 정부와의 협상 끝에 2억달러(약 2778억원)의 벌금을 내기로 합의하면서 매년 12억달러(약 1조 6668억원)에 달하는 연방 지원금을 되찾을 수 있는 길을 열었다.
이번에 하버드대가 정부에 요구받은 벌금은 엄청난 액수로, 이 금액은 컬럼비아대가 수용한 금액의 두 배를 넘는 것으로 전해진다. NYT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비공식적으로 하버드대가 더욱 많은 금액을 지불해야 한다고 요구해왔던 것으로 확인됐다. 협상은 일정한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하버드대는 외부 독립 감시인의 허용 여부에 대해 학문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며 회의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하버드대 관계자들은 정부와의 법적 다툼에서 승리하더라도 트럼프 대통령 재임 기간 중 추가적인 불이익을 피하기 위해 합의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단순한 재정적 문제를 넘어서 하버드대의 학문적 자유와 입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