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상승에 대한 경계심…" 투자자들에게 '거품 신호' 주의 촉구

최근 뉴욕 증시에서 S&P500과 나스닥 지수가 연일 새로운 최고치를 기록함에 따라, 시장에서는 과열 조짐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8일(현지 시간) 이러한 시장 상태에서 나타나는 '거품'의 징후로 보는 다섯 가지 주요 신호를 제시했다. 첫 번째 신호는 투기성 강한 주식의 급등이다. 예를 들어, 미국의 부동산 중개 플랫폼 오픈도어 테크놀로지스의 주가는 최근 한 달 동안 377%나 급증했다. 이는 침체된 주택 시장에서도 눈에 띄는 상승세라는 점에서 시장의 비정상적인 현상을 보여준다.
또한, 다른 기업들, 예를 들어 고프로와 크리스피 크림 등도 짧은 기간에 급등세를 보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묻지마 투자' 경향이 확대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수익성 없는 중소형주와 가상자산, 밈 주식 등에 대한 무모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WSJ은 이러한 현상이 2021년 게임스톱 사태와 유사하다고 경고하며, 실제로 러셀 3000 지수의 구성 종목 중 4월 이후 주가가 3배 이상 오른 기업의 27개가 적자인 기업이었음을 분석했다.
둘째, 가상자산의 급등 역시 과열 신호 중 하나로 지목됐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친가상자산 정책에 힘입어 일부 상장사들은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매입하고 이를 자사 주식과 연결하여 레버리지처럼 활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용 성과나 기업 실적과는 무관하게 비트코인 보유량만으로 주가가 상승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이 커질 경우 비트코인의 가격이 급락함에 따라 해당 기업의 주가도 떨어지고, 결국 시장 전체에 충격이 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세 번째 신호는 시장 상승이 특정 대형 기술주에서 벗어나 다양한 전통 업종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금융, 산업, 통신 분야 등 여러 업종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KBW 나스닥 은행 지수는 한 달 사이에 7% 이상 증가했다. 특히 S&P500에서 50일 이동평균선 이상을 초과하는 종목 비율이 작년 가을 이후 최대치를 기록하며 이는 주식 시장이 제한된 대형주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인 강세장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네 번째 신호로 지목된 것은 밸류에이션의 과도함이다. S&P500의 예상 수익률과 미 10년물 국채 수익률 간의 격차인 주식 리스크 프리미엄이 제로에 가까워졌다. 이는 주식 투자에서 기대할 수 있는 초과 수익이 거의 사라졌음을 시사하며, 많은 투자자들에게 우려를 낳고 있다.
마지막으로, 시장과 경제 펀더멘털 간의 괴리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미국 경제는 비교적 양호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다시 증가세를 보이며, 고용 증가율 또한 최근 8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리솔츠 웰스 매니지먼트의 칼리 콕스 수석 전략가는 "고용 시장이 약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시장의 낙관적 반응은 흥미롭다"며, 고용이 둔화될 경우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 경고했다.
이처럼 다양한 신호들이 투자자들에게 경고를 하고 있는 현재, 비트코인 상승에 대한 과도한 기대는 조심해야 하며, 시장의 실질적인 분석과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