룰라 대통령, 미국의 고율 관세에 대한 보복 경고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이 미국이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경우, 똑같이 보복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룰라 대통령은 이러한 방침을 10일(현지시간) 레코드TV와의 인터뷰에서 재확인했으며,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0% 관세 부과를 발표한 직후 이 같은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룰라 대통령은 인터뷰에서 "미국이 우리에게 50%의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는 반드시 같은 비율로 대응할 것"이라며 "우리는 협상을 시도할 것이지만, 만약 협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상호주의 법을 발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발언은 브라질 정부와 미국 간의 긴장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선 서한에서 브라질 정부가 전 대통령 자이르 보우소나루를 재판에 회부한 것에 불만을 표시하며 이를 "마녀사냥"으로 간주했다. 룰라 대통령은 이러한 트럼프의 발언을 두고, 자신과 친밀한 관계에 있는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의 형사 재판 문제를 이용해 정치적 압박을 가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브라질 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룰라 대통령의 입장을 지지하는 반면, 일부 재계에서는 미국과의 관세 전쟁이 심화될 경우 국산 제조업체 및 경제 전반에 미칠 파장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AP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질의 다비 알콜룸브레 상원의장과 우고 모타 하원의장은 공동 성명을 통해 "우리는 경제와 생산 부문, 그리고 일자리 보호를 위해 균형있고 단호하게 대응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관련 법이 브라질 주권을 보호하는 수단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건은 브라질과 미국 간의 무역 관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룰라 대통령의 보복 관세 발언은 미국의 무역 정책에 대한 강경한 반응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양국 간의 경제 협상에 큰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 브라질 정부는 외교적 노력을 통해 이와 같은 갈등을 완화할 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경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법적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번 관세 전쟁의 배경에는 복잡한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혀 있다. 룰라 대통령이 제안한 상호주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 대응 전략이 실제로 어떤 결과를 가져올지가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