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정책 불구 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기록…엔비디아 시가총액 4조달러 돌파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정책 불구 S&P500·나스닥 사상 최고치 기록…엔비디아 시가총액 4조달러 돌파

코인개미 0 8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미국 뉴욕 증시가 10일(현지시간) 세 주요 지수인 다우존스, S&P500, 나스닥이 모두 상승세로 마감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집중시켰다. 특히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이틀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엔비디아는 종가 기준으로 시가총액 4조달러를 넘는 성과를 거두었다.

주식시장이 오름세를 보인 이유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새 관세 정책이 발표된 것과는 상관없이 투자자들이 시장 상황에 여전히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날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2.34포인트(0.43%) 상승하여 4만4650.64로 마감했으며, S&P500지수는 17.2포인트(0.27%) 오른 6280.46, 나스닥지수는 19.33포인트(0.09%) 상승한 2만630.67에 거래를 종료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0.75% 상승하여 독보적인 성과를 거두었다. 최근에 엔비디아는 전 세계에 상장된 기업 중 처음으로 장중에 시가총액 4조달러를 기록한 바 있으며, 이번 마감가 기준으로도 이 수준을 유지하게 되었다. 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오는 16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국제공급망 박람회에 참석한다. 시장은 엔비디아가 미국의 수출 통제를 피하기 위해 개발 중인 중국 전용 인공지능(AI) 칩의 출시 여부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델타항공은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12.08% 급등하였고, 테슬라의 주가도 4.73% 상승했다. 한편,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각각 0.6%와 0.4%의 소폭 변동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와 브라질에 대한 50% 관세를 지난 1일 발효한다고 발표했으며, 이러한 관세 부과는 22개국에 걸쳐 시행될 예정이다. 이러한 무역 긴장 상황에도 불구하고 S&P500와 나스닥의 상승세는 계속되고 있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크 딕슨 전략가는 "시장은 관세 관련 모든 불확실한 상황에 무감각해졌다"고 언급하며, "트럼프의 변덕스러운 관세 정책이 이런 시장 상황을 초래했다"고 평가했다.

엊그제 발표된 고용 지표는 예상 외로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만7000건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는 전문가의 예상치인 23만6000건보다도 낮은 숫자다. 고용 시장은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불황 전망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내구성을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엔비디아의 주가가 47% 상승한 것은 내 관세 정책 덕분"이라며 연방준비제도(Fed)에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미국 경제가 관세 수입 덕분에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Fed가 이 상황을 반영해 금리를 신속히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물가 상승 우려로 금리 인하를 주저하는 Fed를 비판했다.

국채 금리는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으며, 10년물 국채 금리는 4.34%, 2년물 금리는 3.87%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