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구리 수입품에 50% 관세 부과 예고…정제 구리 포함 가능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구리 수입품에 5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발표한 가운데, 정제 구리도 이러한 관세의 대상에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블룸버그 통신은 12일 여러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하였다. 정제 구리는 현재 미국으로 수입되는 구리 제품 중 가장 비중이 큰 품목으로, 전 세계적으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관세가 부과될 경우 전력망, 건설, 자동차 제조, 소비자 전자제품 등 주요 산업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완제품의 전 단계인 반제품 형태의 구리 제품도 이번 관세의 대상에 포함될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 내각 회의에서 구리 수입품에 대한 50% 관세 부과를 예고하고, 자신의 SNS인 트루스소셜에 이번 조치가 국가 안보와 관련된 강력한 평가를 통해 내려진 결정이라고 언급하였다. 그는 이 조치가 오는 8월 1일부터 시행될 것이라고 전했으며, 이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리를 필수적인 전략적 물자로 간주하고 있으며, 자국 내 생산을 장려하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구리가 반도체, 항공기, 선박, 탄약, 데이터센터, 리튬이온 배터리, 레이더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필수로 사용되는 자재라고 강조하였다. 특히, 그는 구리가 미국 국방부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소재라고 언급하며 국가 안보 맥락에서 이 조치의 부합성을 설명하였다.
한편, 백악관 관계자는 해당 조치가 아직 공식화되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발표 전까지 이를 최종안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러한 구리 관세의 도입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 공영방송 CBS는 구리 가격이 급등하고 그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경고하였다. 주택, 냉장고, 자동차,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에서 구리 가격의 상승이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예측이 이어졌다.
비영리 싱크탱크인 경쟁기업연구소의 라이언 영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CBS와의 인터뷰에서 "기업의 비용이 상승하게 되면 이는 소비자에게 전가되기 마련"이라며, 결국 가전제품, 주택 수리 및 구리가 들어가는 모든 제품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하였다.
이번 조치는 미국의 경제와 산업에 많은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구리의 가격 변동은 원자재 시장뿐만 아니라, 미국의 관세 정책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사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관세 부과의 결과는 향후 경제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대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