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 초정통파 유대교인 징집 통지서 발송, 내각 붕괴 위험

이스라엘 정부가 전시 상황에서도 징집 면제를 받아왔던 초정통파 유대교인, 즉 하레디(Haredi) 남성들에게 징집통지서를 발송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국민들 사이에서 하레디 남성들의 병역 의무 회피에 대한 반감이 커짐과 동시에 병력 부족 문제가 심각해져서 나온 조치다. 그러나 이 하레디 계열 종교정당들은 징집 통지에 강력히 반발하며 정부에 연정 탈퇴 압박을 가하고 있어, 이스라엘의 연정이 붕괴될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스라엘방위군(IDF)은 지난 6일부터 하레디 남성 중 5만4000명을 대상으로 징집통지서를 발송하기 시작했다. IDF는 전투 및 최전선 지원 인력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징집 기피자에 대한 처벌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하레디 남성들은 종교적 이유로 군 복무를 면제받아왔으며, 이들은 유대교 경전인 토라에 따라 매우 엄격한 공동체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대인 학살을 겪은 역사적 배경에 기인하여 그들의 문화와 학문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스라엘의 전체 인구 중 약 14%에 해당하는 130만명의 하레디 중 남성 징집대상자는 약 6만6000명이다. 지난해 이스라엘 대법원은 종합적으로 병역 면제가 불법이라는 결정을 내렸고, 정부는 이번에도 하레디 남성에게 징집을 추진하게 되었다. 하지만 하레디 정당들은 징집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연정을 탈퇴하겠다고 압박하고 있다. 이는 민심과 전력 보충 간의 균형을 맞추려는 네타냐후 내각의 고민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하레디 종교정당인 샤스당과 토라유대주의연합(UTJ)은 의회에서 징집 관련 법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연정에서 탈퇴하고 의회 해산 법안에 찬성할 것이라고 공언하였다. 이들은 하레디 징집인원을 5만4000명에서 4800명으로 축소하고, 향후 5년간 점진적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가 수용되지 않으면 정권의 붕괴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네타냐후 내각은 68석을 차지하고 있으며, 하레디 정당들이 연정에서 탈퇴할 경우 과반 의석이 무너지면서 총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정부는 징집 계획을 변경할 수밖에 없는 딜레마에 빠지게 되었다. 이 문제는 단순한 정치적 리스크를 넘어서 이스라엘 사회의 병역 제도를 둘러싼 복잡한 갈등을 드러내고 있다.
이스라엘 정부의 징집 통지서 발송은 군역 의무를 두고 있는 자와 그들의 문화적 배경 간의 상충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향후 이스라엘의 정치적 안정을 위협하는 중요한 사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