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과 멕시코, 각기 다른 미국 관세 대응 전략 제시

브라질과 멕시코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관세 부과 조치에 대해 상이한 대응 전략을 선택했다. 브라질은 '맞불 관세'를 검토하는 가운데 정면 대응을 선택한 반면, 멕시코는 협상을 통한 해결을 모색하고 있어 두 나라의 경제 상황과 외교 전략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브라질의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은 관세의 영향을 받는 기업들로 구성된 '관세 태스크포스(TF)'를 조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9일 트럼프 대통령은 8월 1일부터 브라질에 대해 5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원래 예고된 10%에서 무려 40%포인트가 오른 수치로,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브라질 내 무역 불공정성과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에 대한 재판이 있다는 지적이 있다. 보우소나루 전 대통령은 룰라 대통령의 최대 정적이며, 이에 따라 브라질 정부는 즉각적으로 반발하며 외부 간섭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표명했다.
브라질 부통령 제라우두 아우키밍은 관세 부과에 따른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수의 기업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있으며 미국 측에 관세 조정을 위한 제안을 전달했으나 아직 응답을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브라질 내 미국 기업도 피해를 볼 것이라고 강조하며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었다. 룰라 대통령은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강유유형과 냉철한 자세를 주문하고, 브라질 주권과 관련된 사안에 대해서는 미국에 어떤 양보도 하지 말 것을 지시했다고 전해진다.
반면, 멕시코는 브라질과 다른 접근법으로 30% 관세가 부과될 예정인 상황에서도 협상을 통한 해결을 진행 중이다. 멕시코 대통령 클라우디아 셰인바움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미국과의 안보 사안에 대한 협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이 일에 대해 국가가 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불법 이민 문제와 펜타닐 유입에 대한 미국의 우려에 기인하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25% 관세를 부과한 뒤 30%로 상향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브라질과 멕시코의 대응 차이는 두 나라의 경제 구조에서 비롯된다. 브라질 정부 보고서에 따르면, 2009년부터 올해 6월까지의 대미 교역에서 누적 적자는 902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미국과의 협상이 실패하더라도 경제적 여파가 심각하지 않다는 분석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멕시코는 미국과의 경제 의존도가 높고, 수출의 80%가 미국에 향하는 만큼, 미국과의 좋은 관계 유지를 위해 최대한 협상에 집중하고 있다.
추가로, 멕시코산 신선 토마토에 대해 미국 정부는 17.09%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미국 시장에서 멕시코산 토마토가 약 70%를 차지하는 현황을 고려한 정책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브라질과 멕시코의 세심한 외교전략과 경제 대응이 주목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