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압박에 코카콜라, 미국 제품에 케인 슈가 도입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강력한 애정에 못 이겨 코카콜라가 미국 시장에서 사탕수수로부터 추출한 설탕, 즉 케인 슈가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16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나는 케인 슈가를 미국 내 코카콜라에 사용하는 문제를 논의해왔으며, 그들은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콜라 애호가로 잘 알려져 있어 과거에도 집무실에 '콜라 버튼'을 두고 필요할 때마다 다이어트 콜라를 손쉽게 마실 수 있도록 했다. 그는 술과 담배를 즐기지 않지만, 콜라는 트럼프의 상징으로 자리 잡아 그가 펼치는 외교 정책이나 경제 정책에 따라서도 코카콜라의 매출에 영향을 미치곤 했다.
그러나 최근 반트럼프 정서가 만연해지면서 코카콜라가 피해를 입기도 하였다. 덴마크와 멕시코를 포함한 다양한 국가에서 코카콜라 브랜드에 대한 불매 운동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덴마크에서는 2019년,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미국으로 편입하겠다고 주장하자 코카콜라를 포함한 여러 미국 기업에 대한 불매 운동이 시작되었고,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발언이 반미 정서를 더욱 자극했다.
덴마크 소비자들은 미국산 음료 대신 자국산 대체품을 찾으면서 졸리콜라 브랜드의 매출이 전년 대비 13배 상승하는 성과를 보였다. 멕시코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 전쟁이 소비자 심리를 위축시켜 코카콜라의 판매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멕시코 병입 업체인 코카콜라 펨사는 "경제 활동 둔화와 소비자 심리에 미치는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첫 분기 판매량이 5.4%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미국 내에서도 반트럼프 정서가 코카콜라에 영향을 미쳤다.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이민자 추방 정책을 내세우면서, 코카콜라가 불법 이민자 신고에 연관된 허위 정보로 비난받게 되자 히스패닉계 소비자들 사이에서 불매 운동이 일어났다. 코카콜라의 CEO인 제임스 퀸시는 "이는 전적으로 잘못된 이야기"라면서도 매출에 미친 영향을 인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업적인 차원에서의 결정이 코카콜라의 향후 학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도 정치적 환경에 따라서 대기업들이 대응해야 할 과제가 더욱 많아질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