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일본에 25% 관세 부과 결정을 유지하며 인도와의 무역 합의에 근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일본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16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바레인 왕세자와의 회담 중 기자들의 질문에 "일본과 협상하고 있지만, 아마도 일본과는 관세 서한을 '문자 그대로' 따를 것 같다"고 전했다. 이는 8월 1일까지 일본과의 협상이 완료되지 않으면, 일본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미국이 일본에 대한 관세율을 25%로 통보한 것은 4월에 책정된 24%보다 1%포인트 높은 수치로, 이는 양국 간의 무역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의 시장 개방 정도가 한국 및 유럽연합(EU)과 같은 다른 국가들에 비해 "훨씬 덜하다"며 일본의 협상 여지가 협소하다고 언급했다.
현재 일본 내각은 낮은 지지율과 함께 오는 20일 참의원 선거를控하여 미국의 농산물 시장 개방과 관련된 요구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일본과의 협상은 참의원 선거 이후에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의 무역 합의가 매우 가까워지고 있다며 긍정적인 예측을 내놓았다.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에 이어 인도와의 무역 협상이 성사될 경우, 인도는 전체 네 번째, 인도·태평양 지역에서는 세 번째 국가가 될 예정이다. 그는 이와 관련해 "이들은 긍정적인 경제 관계를 형성할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소규모 국가들에게는 10%를 초과하는 상호관세율을 부과할 것임을 암시했다. 그는 이들 국가를 두고 "정말 큰 문제"라며 조만간 납부 통보서가 발송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번 발표는 미국의 무역 정책과 각국의 대응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호관세가 세계 경제에 미칠 파장에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일본과 미국 간의 무역 관계뿐만 아니라 인도와의 경제 협력에도 큰 변화를 몰고 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면밀한 주의가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