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국방부 이메일 실수로 아프간 협력자 정보 유출, 13조원 망명 비용 예상

홈 > 투자정보 > 해외뉴스
해외뉴스

영국 국방부 이메일 실수로 아프간 협력자 정보 유출, 13조원 망명 비용 예상

코인개미 0 6
13da94e7d7acb325289d936dda349a37_1751507099_0446.png


영국 국방부의 심각한 이메일 실수로 인해 아프가니스탄에서 영국과 협력했던 2만여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되었으며, 이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망명 프로젝트에 쏟아져야 할 비용이 약 13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건은 2022년에 발생했지만, 영국 국방부가 사건 공개를 3년간 지연시키면서 최근에야 실상이 드러났다.

이번 사고는 한 영국 특수부대 군인이 아프간 협력자의 신상정보가 담긴 엑셀 파일을 여러 정보기관 소속 고위 관료들에게 이메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이메일 주소 하나를 잘못 입력한 데서 시작되었다. 더욱이, 이러한 기밀정보가 공인된 방화벽이 설정된 기관 내부가 아니라 외부에서 발송되면서, 정보가 공공에 퍼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해당 이메일을 잘못 수신한 인물은 이를 자신의 페이스북에 공유해 외부에 알려지게 되었고, 이로 인해 문제가 확대되었다.

정보가 유출된 아프간 협력자들과 그 가족들은 현재 Taliban 정부로부터 '민족 배반자'로 지목되어 살해 위협을 받는 처지에 있으며, 이들은 과거 영국군과 협력했던 통역사와 정보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국 정부는 이러한 협력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비밀리에 망명 프로젝트를 추진하였으며, 현재까지 약 4500명이 영국으로 이송되었다. 이 과정에서 이미 4억 파운드(약 7400억원)가 소요되었고, 남은 인원들의 이송, 정착비, 일자리 제공 등을 포함할 경우 총 70억 파운드(약 13조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이들 협력자들은 영국 국방부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할 가능성도 높아 추가적인 비용 부담이 예상된다. 이러한 이메일 실수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며, 2023년에도 비슷한 사례가 발생했다. 이때는 영국 군이 미군과 송신하는 과정에서 '.mil' 대신 '.ml' 도메인을 잘못 입력해 아프리카의 말리로 기밀정보가 유출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이메일 해킹 시도가 악화되고 있으며, 해커들은 개인의 이메일 계정을 해킹한 뒤 조직의 기밀정보에 접근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기업과 기관들은 공용 이메일 계정을 외부 통신망과 차단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AI 기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해킹 수법이 등장하고 있음에 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북한은 이메일 해킹의 세계 1위 국가로, 해킹 조직의 규모는 중국이나 러시아보다 크고, 총 5만명이 넘는 인원이 관련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의심스러운 이메일을 절대 열지 말고 삭제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각국 정부와 군은 기밀 유출 방지를 위해 이메일 전송 시 한 번 더 확인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실수와 해킹 시도는 여전히 존재하고 있어 더욱 철저한 대비가 요청된다.

media&token=5baaac21-924f-4e81-9cd5-b5c12c622e77
0 Comments

공지사항


광고제휴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