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개의 K애니메이션, 세계에서 주목받는 이유는?

최근 두 편의 한국 애니메이션이 글로벌 차원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그 주인공은 바로 '케이팝 데몬 헌터스'와 '킹 오브 킹스'다. 먼저 '케이팝 데몬 헌터스'(일명 '케데헌')는 3인조 K팝 걸그룹 '헌트릭스'가 악령을 사냥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제목에서 보여주는 장르는 다소 진부하게 느껴졌지만, 이 애니메이션은 20일 넷플릭스에 공개된 이후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아 전 세계 넷플릭스 영화 시청에서 2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무엇보다 주목할 점은 이 애니메이션의 OST에 실린 8곡이 미국 빌보드 '핫100' 차트에 동시에 진입한 것이다. 특히 '골든'이란 곡은 6위에 오르며 빌보드 '글로벌(미국 제외)' 및 '글로벌200' 차트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 이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에는 서태지와 아이들, EXO, 트와이스 등 다양한 인기 K팝 아티스트들의 곡들이 배경음악으로 삽입되어 묘한 정서를 더한다. 애니메이션 속 서울의 풍경과 전통 한국 음식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매력적인 문화적 요소도 함께 전달되고 있다.
또 다른 작품인 '킹 오브 킹스'는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예수 그리스도의 생애를 이야기에 담고 있다. 이 작품은 영국의 작가 찰스 디킨스가 아들 월터에게 예수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화해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지난 16일 국내에서 개봉한 이 애니메이션은 4월에 먼저 개봉한 북미 시장에서 6천만 달러의 극장 매출을 기록하며,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을 제치고 한국 영화 사상 북미에서 가장 많은 흥행 수익을 올린 기록을 세웠다. 현지에서 호평을 받아 올해 말 재개봉도 확정된 상황이다.
두 작품은 주제적인 면에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만, '케데헌'은 일본계 미국 기업인 소니 픽처스에서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일부 팬들은 한국계 캐나다인 공동 연출과 K팝 아티스트의 참여에도 불구하고 K콘텐츠의 생산주도권을 잃을 수 있는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반대로 '킹 오브 킹스'는 한국 제작사에 의해 순수하게 만들어진 K애니메이션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은 한국 문화를 반영하지 않는다.
문화의 글로벌화는 다양한 인종 간의 이해와 소통을 촉진하며,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는 동시에 콘텐츠의 품질이 시장에서 중대한 요소임을 강조한다. 그렇기에 콘텐츠가 어디서 만들어졌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것이 얼마나 잘 만들어졌는지가 핵심이라는 점이 눈에 띈다. 따라서 이제는 국적을 초월하여 진정으로 문화를 다룰 수 있는 콘텐츠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